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부라린이 생식세포분열 동안 동조 염색체 사이의 염색체 접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0

영문명
Effect of Zebularine on Chromosomal Association between Meiotic Homoeologous Chromosomes in Wheat Genetic Background (Triticum aestivum L.)
발행기관
한국작물학회
저자명
조성우(Seong-Woo Cho) Takayoshi Ishii Hisashi Tsujimoto
간행물 정보
『한국작물학회지』제66권 제4호, 318~325쪽, 전체 8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인공 염색체 절단의 유발원인 제부라린을두 종류의 Leymus 염색체가 첨가된 이중 일가 외래 염색체 첨가 밀 계통의 생식세포 분열기에 처리함으로써 인공염색체 절단이 상동성이 결여된 외래 염색체 사이의 염색체 조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밀의 유전적 배경에서 두 외래 염색체의 행동은 genomic in situ hybridization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생식세포분열 전기 초반에 인공 염색체 절단은 두 외래 염색체의 핵형 차이인 말단의 이질염색질을 제외한 전장에서 발생하였으며, 그로 인하여 염색체 융합이 이루어져 이가 외래 염색체의 형태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제부라린처리에 의한 인공 염색체 절단이 체세포분열(mitosis) 염색체뿐만 아니라 생식세포분열 염색체에 염색체 접합과 유사한 현상을 유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상동성을 엄격하게 조절하는 Ph1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밀의유전적 배경에서 동조 또는 비상동 관계에 있는 염색체 사이에서 염색체 결합이 이룰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인공 염색체 절단은 두 외래 염색체의 소실과 일반적인 이가 염색체의 형태가 아닌 비정상적인 형태의 외래 이가 염색체도 유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보통 형태와 유사한 이가 외래 염색체가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생식세포 분열의 사분자의 포자에 자매염색분체의 분포 비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염색체 조합의 빈도를나타내는 상동성 지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따라서 인공 염색체 절단에 의한 염색체 결합의 빈도와 발생부위에 대한 조절을 작물학적 관점에서 이용하려면 앞으로 지속적인 염색체 연구를 바탕으로 좀 더 구체적이고 세밀한 제부라린의 투여량, 처리시간 및 처리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zebularine, a DNA methylation inhibitor, on the chromosomal association between homoeologous chromosomes in the wheat genetic background. Zebularine at a final concentration of 10 µM was used to treat the spikes of the double monosomic wheat addition line (DMA) with one Leymus mollis chromosome and one Leymus racemosus chromosome, both of which were in a homoeologous relationship. In late prophase, zebularine led to chromosome breakage in the Leymus homoeologous chromosomes. Chromosome breakage caused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chromosomal associations between the Leymus homoeologous chromosomes. Ordinary DMA showed 65 cells (35.3%) with chromosomal associations and 119 cells (64.7%) with no association, whereas treated DMA showed 102 cells (60.0%) with chromosomal associations and 67 cells (39.4%) with no association. In diakinesis, the Leymus bivalent showed a chromosomal association in the whole euchromatic region. In metaphase, the Leymus bivalent showed association in the whole chromosomal region, unlike other Leymus bivalents with partial chromosomal association. Chromosomal association by chromosome breakage occurred not only between Leymus chromosomes but also between Leymus and wheat chromosomes. The frequency of other chromosomal association (such as fusion and insert) was increased. Chromosome breakage by zebularine treatment is a useful method at the chromosome level as the spores with others are hereditary stable, although the homologous index (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ordinary DMA and treated DMA.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o control zebularine treatment with a more stable concentration for chromosome breakage during meiosis.

목차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인용문헌(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성우(Seong-Woo Cho),Takayoshi Ishii,Hisashi Tsujimoto. (2021).제부라린이 생식세포분열 동안 동조 염색체 사이의 염색체 접합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66 (4), 318-325

MLA

조성우(Seong-Woo Cho),Takayoshi Ishii,Hisashi Tsujimoto. "제부라린이 생식세포분열 동안 동조 염색체 사이의 염색체 접합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66.4(2021): 318-3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