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신분석학적 ‘욕망의 주체’ 이해에 기초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 개발

이용수 19

영문명
A Study on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for Love based on Understanding of Psychoanalytic Desire of Subject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김선아(Sun Ah Kim)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68집, 77~11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을 두 가지 영역에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그 첫 번째 영역은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방향 및 이에 따른 세부목적’이다. 이 영역에서 연구자는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방향을 ‘주체상호적인 사랑의 소통을 위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과 ‘욕망의 주체를 위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방향에 따른 세부목적은 ‘말하는 존재로서의 주체 구성하기’와 ‘욕망의 자율적 원천으로서의 주체 깨닫기’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방향 및 이에 따른 세부목적을 재구성하는 목표는 우리의 미래세대가 주체상호적인 사랑의 소통을 이루며 사랑을 욕망하는 주체로서 살아가도록 길인도 하고자 하는 데 있다. 두 번째 영역은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과제 및 이에 따른 세부내용’이다. 이 영역에서 연구자는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과제를 ‘아가페적 사랑의 욕망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기’와 ‘사랑의 교육과정을 통해 전인성 형성하기’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이에 따른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세부내용은 ‘아가페적 사랑의 욕망의 진실 깨닫기’와 ‘일상의 삶에서 아가페적 사랑 실천하기’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 과제 및 세부내용의 재구성 목표는 우리의 미래세대가 아가페적 사랑의 욕망 패러다임으로 전환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을 통해 일상의 삶에서 아가페적 사랑을 실천하며 사는 전인적 ‘욕망의 주체’가 되도록 길인도 하는 데 있다. 이에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생애주기별(태아기, 영유아기, 아동기)로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실제를 제시한다. 결론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물이 현장에서 활용되기 위해 요구되는 교육적 실천을 제안하고, 본 연구 결과물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및 전망을 함으로써 본 연구의 여정을 마무리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first year, which is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s R&D subject for middle-grade researchers. In this study, the practical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for love - an according to the psychoanalytic perspectives of F. Dolto(1908-1988) - is suggested as follows. The first is ‘the reconstruction of the directions of curriculum and its specific aims in accordance with such directions.’ The reconstruction of the directions of curriculum aims at leading our future generation to live as a subject of desire through the mutual-communication of love. The second is ‘the reconstruction of the tasks of curriculum and its specific contents in accordance with such tasks.’ The reconstruction of the tasks of curriculum pursuit to help our future generation through the converting the education for love into the paradigm of desire of Agape to live as a subject of desire forming a whole personality and practicing the desire of Agape in daily life. as a source of desire According to these aims, the reconstruction of directions of curriculum are presented as following: firstly, curriculum for the mutual-communication between subjects of love and secondly, curriculum for the subject of desire . The reconstruction of tasks of curriculum are like these: firstly, converting the education for love into the paradigm of desire of Agape , and secondly, forming a whole personality through the education for love . Thus, with respect to two specific aims in accordance with the reconstruction of directions are suggested like these: Firstly, constructing a subject as a speaking existence and secondly, realizing the subject as the autonomous source of desire . In the two specific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reconstruction of tasks are presented as following: Firstly, realizing the truth of the desire of Agape .’ Secondly, practicing the desire of Agape in daily life. The third is the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by life cycle are suggested. They include the fetal life,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life, and childhood life. In further study, it is required to contain adolescent period. It will be useful to help them to recover their self-esteem with the experience of true love, especially, out-of-school young generation overcome negative perspectives and prejudice in the society, and challenges to their dreams and future through proper utilization of the study outcome. The outcome of this study, which presented practical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for lov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psychoanalytic desire of subject can be used as basic teaching materials for our future generations. Furthermore, the results can be used as a resource for educating ministers and lay leaders in the religious world to build capabilities to heal their inner side as well as the society that is tainted with various forms of conflict. These include general conflicts, anger, pleasure and addiction, depression and suicide, violence and murder, etc. The study outcome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antisocial incidents against humanity that have recently been occurring in our free-semester system implemented in all middle schools across the country to be operated effectively.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tudy results as lecture and teaching materials for ‘character camp’ (self-examination and self-esteem improvement training) and ‘family healing camp’ (solution of a communication gap between family members and love communication training), which help students participate in field trip activities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voluntarily, independently, and creativel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정신분석학적 ‘욕망의 주체’ 이해에 기초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 개발(1): 교육과정의 방향 및 세부 목적의 재구성
Ⅲ. 정신분석학적 ‘욕망의 주체’ 이해에 기초한 사랑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2) : 교육과정의 과제 및 세부내용의 재구성
Ⅳ. 정신분석학적 ‘욕망의 주체’ 이해에 기초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 생애주기별 재구성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아(Sun Ah Kim). (2021).정신분석학적 ‘욕망의 주체’ 이해에 기초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 개발. 기독교교육 논총, 68 (1), 77-112

MLA

김선아(Sun Ah Kim). "정신분석학적 ‘욕망의 주체’ 이해에 기초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 개발." 기독교교육 논총, 68.1(2021): 77-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