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을교육공동체로서의 오산학교와 명동학교

이용수 21

영문명
A Study on the Osan School and the Myeongdong School as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강영택(Young Taek Kang)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68집, 141~17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민족학교였던 오산학교와 명동학교의 마을교육공동체로서의 특성을 살펴봄으로 오늘날 마을교육공동체가 지향하는 본질과 방향을 검토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 두 학교는 국내외 민족독립운동의 거점이 된 명성 높은 기독교학교였다. 이 학교들이 억압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당시 시대적 사명이었던 민족교육을 충실히 수행하여 훌륭한 졸업생들을 배출할 수 있었던 데는 학교와 마을의 친밀한 협력관계로 형성한 마을교육공동체의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두 학교는 설립부터 마을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고, 학교는 좋은 교육의 기회나 문화행사가 있으면 마을주민들을 초청하였다. 학교는 주민들에게 학교의 모든 시설들을 열어주었고, 마을주민들은 학생들과 교사들을 보살핌으로 양측은 긴밀한 융합체를 이루었다. 이러한 관계를 토대로 학교와 마을은 자주와 평등이 기반이 되는 이상적 마을공동체를 만들려는 노력을 기울였음을 알 수 있다. 오산학교와 명동학교가 마을과 가졌던 유기적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해 오늘날 마을교육공동체가 보다 성숙한 단계로 나아가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examine the nature and direction of today s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Osan School and Myeongdong School, which were representative national schoo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These two schools were prestigious private schools that became the bases for national and inter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s at home and abroad. The fact that these schools were able to produce excellent graduates by faithfully carrying out the national education, which was the mission of the time, despite the oppressive situation, was influenced by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formed by the organic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and the village. The two schools have had active support from the village since their establishment, and the schools invited villagers if there was a good educational opportunity or cultural event. The school opened all the facilities of the school to the residents, and the villagers took care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forming a close fusion between the two sides. Based on this relationship, the school and village made an effort to create an ideal village community based on independence, equality and solidarity. As such, the historical examination of Osan School and Myeongdong School suggests implications that help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move forward to a more mature stag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 및 논의의 현황
Ⅲ. 오산학교
Ⅳ. 명동학교
Ⅴ. 오산학교와 명동학교가 주는 시사점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영택(Young Taek Kang). (2021).마을교육공동체로서의 오산학교와 명동학교. 기독교교육 논총, 68 (1), 141-173

MLA

강영택(Young Taek Kang). "마을교육공동체로서의 오산학교와 명동학교." 기독교교육 논총, 68.1(2021): 141-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