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NS posting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636
- 영문명
- The Effect of SNS Posting on Happiness: The Mediating Role of Expectations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저자명
- 김묘성(Kim, Myoseong) 서정화(Seo, Jeonghwa)
- 간행물 정보
- 『소비문화연구』제25권 제1호, 133~14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0년 전세계 소셜 미디어 사용자는 36억명에 달할 정도로 많은 이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2025년 사용자는 약 44억명으로 추정할 정도로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많은 이들의 일상으로 여겨진다. 특히, SNS에서 사회적 소통을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SNS 포스팅(posting)관련 연구들은 포스팅 이후에 타인이 나의 게시물에 반응해 줄 것이라는 사용자의 기대감과 실제 그 기대치를 타인이 충족시키는지 여부에 따라 사회적 연결 강화와 외로움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중심으로 다뤄져 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타인의 반응과는 상관없이, 포스팅 직후에 타인이 나의 게시물을 좋아하고 반응해줄 것으로 예상하는 사용자의 사회적 기대감만으로 그 기대를 실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기대감은 실제 사회적 연결 강화로 인해 나타나는 궁극적인 결과인 행복 증진으로 나타날 것을 예측하고 그 현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포스팅을 하는 경우 포스팅을 하지 않았을 때보다 행복이 증가할 것이며, 이러한 관계는 타인의 반응과는 상관없이 포스팅 직후에 타인이 나의 게시물을 좋아하고 반응할 것으로 예상하는 사용자의 사회적 기대감으로 인해 나타나게 될 것임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일기를 통한 경험 작성을 떠올리는 통제 조건보다 포스팅을 통한 작성을 떠올리는 조건에서 평균적으로 높은 사회적 기대감을 보였으나 행복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포스팅은 행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포스팅한 게시물에 타인의 반응이 있을 것이라는 사용자의 사회적 기대감이 매개변수로서 존재하는 경우 포스팅을 하는 것은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 효과는 유의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SNS에 관련된 기존 문헌 확장에 기여한다. 특히, 본 연구는 SNS 포스팅과 관련하여 기존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은 포스팅 직후 타인과 마주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전 단계에 대한 과정을 다루는 것으로, SNS 사용자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사회적 상호작용 후 단계에서 발생할 상황을 예측함에 있어 새로운 통찰력과 더 깊은 이해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SNS(Social network services) are considered a daily routine for many, with 3.6 billion social media users worldwide in 2020, and an estimated 4.4 billion users in 2025. In particular, SNS posting-related studies, which are most commonly conducted for social communication on SNS, have been focused on social connection and loneliness that may differ depending on users expectations that others will respond to their posts after posting and how others react to expectations. However, we predicted that the posting users could meet the expectations just by expecting others feedback regardless of others feedback. And this expectation would result in increased happiness, the ultimate result of strengthening social connections.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in happiness,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social expectations specifically social expectations were higher in posting conditions than in control (diary) conditions. In addition, the posting did not directly affect happiness, however, if there were users social expectations that others will like or react to users posts, pos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significa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existing literature related to SNS. In particular,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cess of pre-social interaction with others after posting, which has not been covered in previous studies regarding SNS posting, providing new insights and deeper understanding in predicting what will happen in the post-social interaction stag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실험
Ⅳ.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와 수치심경향성, 죄책감경향성의 관계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