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PRIME) 사업의 정성적 성과 분석

이용수 154

영문명
A Qualitativ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PRIME Project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주영효(Joo, Young Hyeo) 김상철(Kim, Sang Cheol)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78輯, 149~17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PRIME 사업에 선정된 21개 대학의 정성적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PRIME 사업성과 확산과 성과 평가 방향을 제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RIME 사업 관련 학과개편·정원조정, 교육과정 혁신 및 진로교육 내실화, 대학의 지원 체계 등 세 개 조사 영역으로 구성되는 학교 조사지를 구안하여 PRIME 사업 참여 21개 대학으로부터 자기보고식의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질적 자료는 Strauss와 Corbin(2008)의 반복적인 비교 분석법을 준용하고 코딩 및 분석 절차를 진행하여 주제어와 주제어 빈도수를 중심으로 PRIME 사업의 정성적 성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학과개편·정원조정 측면에서 4차 산업혁명 및 미래 산업 수요에 대비한 학과 개편과 공학입학 정원 증가/이동의 정성적 성과를 확인하였고, 다음으로 교육과정 혁신 및 진로교육 내실화 측면에서는 산업연계 교육과정 개편과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취·창업 지원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과 교과목 운영, 지역학 프로그램 운영 등의 정성적 성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산업체 경력 우수교원 확보, 관학협력 및 산학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의 정성적 성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① PRIME 사업을 통해 정성적 성과가 확인된 일부 대학의 정책 및 제도의 지속가능한 착근 노력과 타대학 확산 유도 필요, ② PRIME 참여 대학-지자체-지역산업체 간 상생 모델의 지역 대학으로의 확산 필요, ③ 공학 분야 인재의 성비 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한 여성친화적 공학교육 혁신 사례의 확산 및 정부의 지속적인 재정 지원과 대학 차원의 제도 및 문화 개선 노력 필요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qualitative performance of the PRIME project and to suggest the policy direction of the future PRIME project and government financial aid program. To this end, this study organized a university survey consisting of three survey areas and collected self-report qualitative data from 21 univers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RIME project.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by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of Struass and Corbin (2008).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ed the qualitative performance of the department reorganization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in the departments of engineering; second, qualitative performance such as reorganizing industry-linked curriculum and operating extra-curricular were shown; and lastly, qualitative performance such as securing excellent professors with industry experience and establishing networks with local government and industries were confirmed.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to spread the success cases of the PRIME project and the win-win model between universities, local governments, and local industries. In addition, we emphasized the need to spread the case of innovation in female-friendly education to solve the gender imbalance problem.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영효(Joo, Young Hyeo),김상철(Kim, Sang Cheol). (2021).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PRIME) 사업의 정성적 성과 분석. 교육문제연구, 34 (1), 149-176

MLA

주영효(Joo, Young Hyeo),김상철(Kim, Sang Cheol). "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PRIME) 사업의 정성적 성과 분석." 교육문제연구, 34.1(2021): 149-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