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毅堂 朴世和와 門人의 文學에 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Literature of Ui-dang(毅堂) Park Se-hwa(朴世和) and his disciples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姜玟求(Kang, Min-gu)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72호, 7~49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毅堂 朴世和[1834~1910]와 그의 門人인 晦堂 尹膺善[1854~1924], 直堂 申鉉國[1869~1949]이 국난기에 지식인으로서 사명감을 자각하고 자신을 반성하고 경계한 작품을 분석함으로 毅堂學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모색해 보았다. 의당학파의 의식에서 중심을 차지하는 주요 개념 중 하나는 ‘毅’인데, 이것은 국난기의 지식인이 지녔던 막중한 사명감을 대변한다. 박세화는 「毅堂銘」에서 ‘毅’의 실천 방법으로서 ‘强’과 ‘忍’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仁’에 도달할 수 있다는 논리를 전개하였고 「耐軒銘」에서는 ‘仁’에 도달하려면 强忍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弘毅를 경유하는 ‘耐’라는 구체적 실천 방법이 필요하다는 논리를 전개하였다. 한편 晦堂 尹膺善은 「剛毅齋銘 竝序」에서 지식인의 최종 지향점은 ‘仁’의 달성인데, 그 실현을 위해 ‘剛’과 ‘毅’가 필요하며, 그 임무가 무겁고 갈 길이 멀기 때문에, 빈천․부귀․위력이 그 뜻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노력하라고 경계하였으니, 의당과 그의 문인들은 ‘毅’를 중심에 두고 지식인으로서의 막중하고 무한한 책임 의식에 대하여 각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의당과 그 문인들은 지식인으로서의 역할에 대해 구체적인 의식을 갖고 있었는데, 사물에 그와 같은 의식을 投射하여 형상화하였다. 의당은 「扇銘」에서 부채와 같이 자신도 특별한 재능을 갖고 있지 않지만, 사회와 부딪혀 사람들의 흉금을 상쾌하게 해주고 사회의 병폐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겠다는 다짐을 문학적으로 표현했다. 그리고 「杖銘」에서 지팡이처럼 비록 반대급부나 조건 없이 온전히 남을 돕더라도 그것을 기뻐하지 않겠다고 다짐하였다. 또 회당의 「烏竹杖銘」은 지팡이의 미덕을 찬양한 글로, 표면적으로는 오죽장에 대한 애정을 표하였지만, 그것에 자신을 投射하여 그 미덕을 체화하겠다고 다짐하였다. 의당은 지식인으로서 준수해야 할 행동의 규범을 「書紳箴」․「敬箴」․「勤箴」․「誠箴」․「精箴」으로 만들어 자신과 제자들을 경계하였다. 그리고 회당의 「爲學十箴」은 경학적 주제를 10편의 연작으로 만들어 경계의 자료로 삼은 글로,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經學, 理學의 이론을 친절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문학적 형상화를 활용하였다. 또 直堂은 『주역』 「井」괘의 내용을 원용하여 「修井齋銘 幷序」를 지어 불우하게 오랜 세월 우물가의 집에서 은거해 『주역』 공부에 매진하는 학자를 위로 격려하고 경계하였다. 毅堂과 直堂은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초상화를 매개로 삼아 스스로를 他者化하여 반성과 경계를 늦추지 않았다. 의당은 「書畫像自警」에서 자신의 역량과 학문이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 사회를 위하여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노년에 이르도록 참된 깨달음과 즐거움을 얻지 못한 자신에 대하여 깊은 회한과 철저한 반성을 하였다. 직당도 「書畫像自警」에서 자신의 초상화를 보고 경계를 하였다. 초상화를 그린 나이도 65세로 의당과 같고 자신의 초상화를 보고 가증스럽다고 참회하는 정서도 동일하다. 의당이 초상화를 보고 자신의 역량이 무엇인가 의미 있는 일을 하기에는 부족하고 학문도 당세에 도움이 되기에는 부족하다는 회한을 하였듯이 직당 역시 노년을 맞은 자신의 모습을 앞에 두고 미진한 학문적 성취를 애석해 하고 그와 같은 반성을 토대로 삼아 비록 늙은 나이지만 스스로 한정하지 않고 더욱 정진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이와 같이 의당, 회당, 직당은 국난기 지식인으로서 막중한 사명과 역할, 적극적 실천에 대한 경계와 다짐을 공통적으로 보이고 있으니, 이것이 의당학을 구성하는 인자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arched for the theoretical basis of Ui-dang School(毅堂學) by analyzing works that Ui-dang(毅堂) Park Se-hwa(朴世和)[1834~1910] and his disciples Hoe-dang(晦堂) Yun Eung-seon(尹膺善)[1854~1924] and Jik-dang (直堂) Sin Hyeon-guk(申鉉國)[1869~1949] had been aware of great sense of duty and had reflected and had been cautious about oneself as an intellectual on national crisis period. One of the central concepts on the consciousness of the Ui-dang School was ‘Ui[毅]’, it could be said that this represented the intellectual’s great sense of duty on the national crisis period. In 「Uidang-myeong(毅堂銘)」, Park Se-hwa proposed ‘Strong[强]’ and ‘Patience [忍]’ as a way of practicing ‘Tough[毅]’, and through this, he developed the logic that it could reach ‘Benevolence[仁]’. In 「Naeheon-myeong(耐軒銘)」, in order to reach ‘Benevolence[仁]’, it was necessary to be strong and patience, then to do this, he developed the logic that it needed a specific method of practicing called ‘Endurance[耐]’ through wide and tough[弘毅]. On the other hand, in 「Ganguijaemyeong-Byeongseo(剛毅齋銘 竝序)」, the ultimate goal of the intellectuals was the achievement of ‘Benevolence[仁]’, in order to realize it, ‘Strong[剛]’ and ‘Tough[毅]’ were needed, because the mission was heavy and there was a long way to go, Hoe-dang Yun Eung-seon cautioned that the poverty, wealth or power should try not to affect the meaning. Through this, it could be seen that Ui-dang and his disciples had awakened to the great and infinite sense of responsibility as an intellectual, centering on ‘Tough[毅]’. This could be said to be a characteristic of the Ui-dang School. Ui-dang and his disciples had a concrete consciousness about the role as an intellectual, and they projected this consciousness to objects and shaped them. In 「Seon-myeong(扇銘)」, although Ui-dang had no special talents himself like a fan, he literally expressed his pledge to play a role in refreshing souls of the people and removing social ills by encountering society without impatience. And in 「Jang-myeong(杖銘)」, he pledged not to rejoice, like a stick, even though it completely helped others without a benefit in return and conditions. In addition, Hoe-dang’s 「Ojukjang-myeong(烏竹杖銘)」 was the article that praised the virtue of the stick, he expressed affection for the Ojukjang on the surface, but he pledged to project himself into it and to acquire that virtue. Ui-dang made rules of behavior into 「Seosin-jam(書紳箴)」․「Gyeong-jam(敬箴)」․「Geun-jam(勤箴)」․「Seong-jam(誠箴)」․「Jeong-jam(精箴)」 to be observed as an intellectual and warned himself and his disciples. The Hoe-dang’s 「Wihak-sibjam(爲學十箴)」 was the article which were made up of 10 series of Confucian classics them as vigilance data, he utilized literary formation to kindly explain abstract and conceptual theories of Confucian classics and Natural sciences. Also Jik-dang wrote 「Sujeongjaemyeong-Byeongseo(修井齋銘 幷序)」 by using the contents of 『Zhōuyì(周易)』 「well(井)」trigram, and encouraged the scholars who had retreated in the a well side house and strived to concentrate on 『Zhōuyì(周易)』 for a long time in obscurity. Ui-dang and Jik-dang meditated on their portraits that can objectively see their own appearance, and made otherized themselves in old age and kept on their reflection and vigilance. Ui-dang thought that his capacity and knowledge should help people and play a role for society in 「Seohwasangjagyeong(書畫像自警)」. He gave deep remorse and thorough reflection on himself who did not get true enlightenment and joy up to old age. Jik-dang also watched his portrait and was cautious in 「Seohwasangjagyeong(書畫像自警)」. It was the same age that portrayed the portrait, and it was same that the emotion to repent that it was abominable to see own portrait.

목차

1. 서론
2. 지식인으로서의 사명에 대한 각성
3. 지식인으로서의 역할에 대한 다짐
4. 행동 규범에 대한 경계
5. 他者化를 통한 반성과 맹세
6.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姜玟求(Kang, Min-gu). (2017).毅堂 朴世和와 門人의 文學에 대한 연구. 동방한문학, (72), 7-49

MLA

姜玟求(Kang, Min-gu). "毅堂 朴世和와 門人의 文學에 대한 연구." 동방한문학, .72(2017): 7-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