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省齋 柳重敎論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Seongjae Yu Jung-gyo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李東宰(Lee, Dong-jae)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72호, 259~29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구한말 민족 구국운동의 핵심 지도자의 한 사람인 성재 유중교의 생애와 문학관을 살펴보고, 이를 基肥로 하여 그의 문학세계를 살펴보았다. 省齋 柳重敎는 초명이 孟敎이고, 자가 穉程이며, 호는 省齋․東岳이고, 시호는 文簡이며, 본관은 고흥이다. 그가 살았던 19세기는 내우외환에 시달리던 시기였다. 그는 스승인 화서 이항로와 다르게 心을 氣라고 인식하였기 때문에 현실인식과 대처 방안에도 스승보다 좀 더 유연한 자세를 가졌다. 그래서 그는 洋倭에 擧義討賊할 수 없는 현실을 인정하고 뒷날을 도모하기 위해 가평, 춘천, 제천 등지로 장소를 옮겨가며 柳麟錫 등 의병장을 양성하여 의병운동의 중심역할을 하게 하였다. 省齋는 도학자답게 전통적인 유가문학관을 고수하여 시는 성정을 기르고 풍속을 교화하는 수단으로 보았다. 나아가 그는 우리말 시가를 매우 긍정적으로 보았으며, 본인이 손수 우리말 시가를 지어서 교육에 활용하기도 하였다. 그는 학문과 강학의 여가에 다양한 유학관련 저서, 음악관련 저서, 역사관련 저서 등을 지었다. 그의 문집인 『省齋集』에는 詩가 99題 135首가 있다. 그가 지은 시는 학문에 대한 의지, 의리 수호의 의지, 자연에 귀의하여 살면서 후학을 양성하겠다는 自靖의 의지 등이 중심 내용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내용은 선행 논문에서 분석하였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이를 제외하고 先賢들의 유허지를 찾아 그들의 업적을 포양한 시, 동학들과의 교유시, 생활공간의 命名을 통해 자기화하여 수양 공간으로 삼은 시를 살펴보았다. 첫째, 선현들을 포양한 시는 그 자신이 趙光祖, 許格 등 선현의 포양을 통해 자기화하여 자신의 삶의 지남으로 삼거나 후학들을 지도하는데 표준으로 삼고자 한 것이다. 둘째, 동학들과의 교유시는 그가 화서의 문하에서 동문수학한 인물들과의 교유를 통해 사도의 수호하고자 하는 의지와 학문을 연마하고 인격의 수양과 이를 권면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셋째, 생활공간의 승경화한 시는 그가 학문과 강학의 여가에 자신이 살고 있는 주변의 이름이 없는 공간을 命名하고 의미를 부여 자기화하여 자신의 학문과 인격의 수양처로 삼은 것을 드러낸 것이다. 앞으로 연구과제는 성재의 시세계에서 살펴보지 못한 일상생활과 관련된 시, 가족간의 정회의 감정을 드러낸 시 등과 문학사적 의의 등에 대한 연구는 후일의 과제로 남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ploredthe life and literature of Seongjae Yu Jung-gyo, one of the key leaders of the late Joseon nationalist movement, and examined his literary world. Seongjae Yu Jung-gyo has Maenggyo as Chungyeong, Chijeong for Ja, Seongjae-Dongak for Ho, Mungan for Siho, and Goheung for ancestral seat. The nineteenth century, when he lived, was the period when people suffered internal and external troubles. Unlike Hwaseo Lee Hang-ro, he recognized mind (心) as sprit (气, so he was more flexible than his teacher in recognizing reality and coping with it. So he moved to places such as Gapyeong, Chuncheon and Jecheon through acknowledging the fact that he could not get rid of the Western and Japanese barbarians, and traininghis future, and he cultivated Righteous Army generals such as Yu In-seok to play a central role in the Righteous Army movement. Seongjae, as a Taoist scholar, adhered to the traditional Confucian literature and saw poems as a means to cultivate character and enlighten customs. Furthermore, he looked at Korean poetry very positively and used it for his education by building his own Korean language poetry. In his spare time, he wrote diverse Confucian books, music books, and history books, and his anthology Seongjaejip has 99 je and 135 su of poems. The poems he wroteare centered on willingness to study, willingness to protect his righteousness, willingness to fidelity of respecting Ming, that, retiring to the nature and nurturing his succeeding scholars. However, this article excluded the contents as above that were analyzed in the preceding article, explored poems of praise and encouragement of their achievements by finding vanished historical sites of sages, poems singing about exchanges with fellow scholars, and poems that make living space a disciplined space for fostering through landscape. First, in poems that praised and encouraged sages, he tried to standardize himself as a guideline of his life or guidance of his followers through self-praise and encouragement of sages such as Jo Gwangjo and Heo Gyeok, etc. Second, in the poems of the exchanges with the fellow scholars, he expressed his intention to defend Confucian morality through exchanges with the alumni scholars under Hwaseo, and reveals the willingness to cultivate scholarship, to foster, to encourage, andto cultivate personal nature. Third, in the poems that landscape the living space, he named the unnamed space around him in the leisure of study and lecture, and gave meaning to it as a place to cultivate his own discipline and personal nature. In the poems of Seongjae, studies on poems related to daily life that have not been studied in previous studies, poems that reveal emotions of family members are left to be discussed later.

목차

1. 緖論
2. 省齋의 생애
3. 省齋의 문학관
4. 省齋의 시세계
5. 結論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李東宰(Lee, Dong-jae). (2017).省齋 柳重敎論. 동방한문학, (72), 259-294

MLA

李東宰(Lee, Dong-jae). "省齋 柳重敎論." 동방한문학, .72(2017): 259-2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