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졸업대학 관련 만족도와 전공-직무일치가 현 직장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3

영문명
The Relationship Among the Satisfaction with Graduated University, Majob-Job Matching and Job Satisfaction on Tourism related Major Graduates
발행기관
대한관광경영학회
저자명
이경민(Lee, Kyungmin)
간행물 정보
『관광연구』제36권 제6호, 45~6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7년 8월, 2018년 2월에 졸업하여 2019년 9월 현재 상용근로자로서 일하고 있는 관광관련학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졸업대학 관련 만족도와 전공-직무일치가 현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2019년 9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3개월에 걸쳐 실시한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2018GOMS)를 통하여 18,163개의 표본수를 얻었고 본 연구는 관광관련학과 졸업생 중 상용근로자로서 일하고 있는 졸업생 173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정 결과 첫째, 졸업대학 관련 만족도는 현 직장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직무일치는 현 직장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행연구에서 졸업대학 관련 만족도는 전공-직무일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018GOMS 자료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분석을 해본 결과 유의미하지 못한 결과가 나왔다. 이는 청년실업난으로 인하여 많은 졸업생들이 전공을 불문하고 일단 취업을 하기 때문이다. 넷째, 성별 그리고 학교의 종류에 따른 변수를 달리하여 연구를 하였지만 모두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 호텔종사자 대상의 연구에서 남성과 여성 간에 직무-교육 불일치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선행연구 결과(이은수, 2017)와 일치하였다. 연구결과 졸업대학 관련 만족도와 전공-직무일치는 현 직장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졸업대학 관련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수업의 방식과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강화한다면, 이직의도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현 직장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satisfaction with graduated school(SS, School Satisfaction), majob-job matching(MJM) and job Satisfaction(JS) on tourism related major graduates from Aug. 2017 to Feb. 2018 who works as a regular employe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performed investigation to about 18,000 graduates from Aug. 2017 to Feb. 2018 and got the data of 2018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For this study, 173 samples were used to SEM analysis. At previous studies among SS, MJM and JS, MJM used as mediation effect for SS and JS. but from this data of 2018GOMS, MJM was not acted as mediation variable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getting job. The first hypothesis, SS effected to JS as positive effect. The second hypothesis, MJM effected to JS as positive effects, too. Sex and the type of School were acted as moderating variable and both hypothesis had meaningful result as positive effect. This means there is no difference to MJM for the job of hotel related for sex(Lee, 2017).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we should increase SS, SS effects to JS and JS effects to Turnover. For that teaching method and quality should be revised because the mean of that variable was very low to graduates. then Turnover will be reduc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민(Lee, Kyungmin). (2021).졸업대학 관련 만족도와 전공-직무일치가 현 직장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36 (6), 45-62

MLA

이경민(Lee, Kyungmin). "졸업대학 관련 만족도와 전공-직무일치가 현 직장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36.6(2021): 45-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