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洪大容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이용수 0

영문명
Misunderstanding and Truth around Hong Dae-yong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崔植(Choi, Sik)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79호, 199~22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최근 홍대용을 둘러싼 몇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첫째, 이덕무의 『선귤당농소』 사건이다. 이덕무는 『회성원집』과 『담원팔영』의 시문 창작에 참여하면서 홍대용과 교유가 처음으로 이루어진 듯하다. 실제로 『담원팔영』 이후 홍대용이 소장한 육비와 반정균의 서화에 글을 남기고, 또한 홍대용의 『乾坤一草亭題詠』에도 참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이덕무 연보의 내용과도 부합한다. 따라서 이덕무의 『선귤당농소』 사건은 홍대용 관련 문헌을 면밀하게 검토하지 않으면, 이덕무에 대한 홍대용의 이중적 태도로 오해할 수 있는 내용이다. 둘째, 홍대용의 필담으로 『간정동회우록』․『간정필담』․『간정동필담』이 대상이다. 『간정동회우록』의 일부인 『간정록』 2가 학계에 소개된 이후로도 여전히 뜨거운 논쟁거리 가운데 하나이다. 『간정동필담』은 『담헌서』 이전에는 어디에도 그 흔적이 보이지 않고, 18세기 3대 연행록으로 불리는 『연행일기』․『담헌연기』․『열하일기』를 수록하여 널리 유통되고 전승된 『燕彙』에도 수록되지 않은 상황이다. 그런데 유득공의 『중주십일가시선』에는 홍대용이 귀국 후 『간정필담』 2권과 『회우록』 3권을 저술하여 집에 보관하고 있는 상황이 보인다. 이는 1777년 무렵에도 홍대용은 『간정동회우록』 3권을 수정하여 『간정필담』을 완성한 이후로도 『간정동회우록』 3권을 폐기하지 않고 보존한 셈이다. 따라서 홍대용의 필담 연구는 텍스트에 대한 보다 실증적인 작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셋째,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홍대용 관련 문헌군이 학계에 알려지면서 새롭게 대두된 사안이다. 유일하게 필사기가 전하는 자료를 소개한 바, 바로 『간정후편』 2의 ‘戊子三月初三日始書. 乾淨後編.’이다. ‘戊子’를 언제로 확정하느냐가 상당한 관심사로, 무자년은 1768년이 아닌 60년 후에 해당하는 1828년이 타당할 듯하다. 이는 홍대용 집안에서 『을병연행록』을 필사한 정황과도 관련이 깊다. 홍대용 사후에 중국 문인들이 홍대용의 시문을 정리하여 보내고, 그 후손이 홍대용의 시문을 수집․정리하여 『간정후편』과 『간정부편』을 필사했다고 추측된다. 지금까지 학계는 『담헌서』를 기본 텍스트로 삼아 연구해 왔으나 『담헌서』는 원문의 오류나 누락된 작품이 적지 않고 체제와 편성이 매우 혼란스럽다. 정인보의 기록에 따르더라도 완벽한 텍스트라고 하기에는 상당히 미흡하다. 따라서 홍대용 관련 문헌군을 망라한 종합적이고 정밀한 텍스트 연구를 바탕으로 『담헌서』 정본을 마련하는 일이 시급하다. 이는 홍대용 연구의 일대 전환점이자 새로운 출발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has discussed around a number of recent issues surrounding Hong Dae-yong. First, it is the 『Seongyuldangnongso』 incident of Lee Deok-moo. Lee Deok-moo participated in the poetry and literature writing of 『Hoeseongwonjip』 and 『Damwonpalyoung』 to have Hong Dae-yong and exchange to meet each other for the first time. In fact, after 『Damwonpalyoung』, he left writings on the yukbi that was kept by Hong Dae-yong and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of Ban Jeong-gyun and further participated in 『Geongonilchojeongjeyoung』 of Hong Dae-yong. Such a fact is conforming to the contents of the Lee Deok-moo s annual report. Therefore, the 『Seongyuldangnongso』 incident of Lee Deok-moo would be the content that may mislead with the dual attitude of Hong Dae-yong on Lee Deok-moo unless the Hong Dae-yong related literatures are not closely reviewed. Second, 『Ganjeongdong-Pildam』, 『Ganjeong-Pildam』, and 『Ganjeongdong『Pildam』 are the subject of the written communication of Hong Dae-yong. As part of 『Ganjeongdong-Hoewurok』, since 『Ganjeong-rok』 2 was introduced to the academic circle, it is still one of the hottest issues of discussion. 『Ganjeongdong-Pildam』 did not have any traces anywhere before 『Damdeon-seo』, and it was not listed on 『Yeonhui』 that was broadly distributed and handed down as it listed 『Yeonhaeng-ilgi』, 『Damheon-yeongi』 and 『Yeolha-ilgi』 that were referred to as the 3 major Yeonhaeng-roks in the 18th century. However, in 『Jeungjusipilgasiseon』 of Yoo Deuk-gong, it showed the situation where Hong Dae-yong wrote 2 volumes of 『Ganjeong-Pildam』 and 3 volumes of 『Hoewu-rok』 and kept them at his residence upon his return to his country. It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even during the time around 1777, Hong Dae-yong revised 3 volumes of 『Ganjeongdong-Hoewurok』 to complete 『Ganjeong-Pildam』and he kept those 3 volumes of 『Ganjeongdong-Hoewurok』 without disposing them. Accordingly, it is the time that the written communication study of Hong Dae-yong requires more empirical work than the text aspect. And third, with the literatures related to Hong Dae-yong that are kept in the Korea Christian Museum of Soongsil University are known in the academic circle, it is the newly emerged aspect. It introduced the only data to convey by a copier as it is the ‘Mujasamwolchosamilsiseo. geonjeonghupyeon.’ of 『Ganjeonghupyeon』2. Significant interests were generated as to when ‘Muja’ would be finalized and it would be reasonable to consider the Year of Muja was not 1768, but 60 years thereafter in 1828. This is profoundly related to the situation with the copy of 『Eulbyeongyeonhaeng-rok』 from the Hong Dae-yong family. After the passing of Hong Dae-yong, it is assumed that the literary men of China summarized the poetry and literature of Hong Dae-yong and his descendents collected and organized the poetry and literature of Hong Dae-yong to transcribe 『Ganjeong-hupyeon』 and 『Ganjeong-bupyeon』. Up to this time, the academic circle has been studies with 『Damdeon-seo』 as the basic text, but 『Damdeon-seo』 contained significant errors and omissions in the original context or works with extremely chaotic system and formation. Even in the record of Jung In-bo, it would be far insufficient to call as a complete text. Therefore, it is urgent to prepare the genuine copy of 『Damdeon-seo』 on the basis of comprehensive and sophisticated text research that encompasses the literatures related to Hong Dae-yong. This is to imply that it is a turning point of the Hong Dae-yong study as well as a new beginning.

목차

1. 문제 제기
2. 이덕무의 『선귤당농소』 사건
3. 필담 문헌의 관련 양상
4. 『간정후편』의 필사와 古詩 선호
5. 남는 문제 : 홍대용 문헌의 정본화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崔植(Choi, Sik). (2019).洪大容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동방한문학, (79), 199-222

MLA

崔植(Choi, Sik). "洪大容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동방한문학, .79(2019): 199-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