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기 아버지와 사별이 성장과정과 성인기 삶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43

영문명
The Impact of Father’s Death in Adolescence on Children’s Growing Process and Adult Life - Based on van-Manen′s Method for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발행기관
한국질적탐구학회
저자명
김경희(Kyunghee Kim) 유지영(Jiyoung Lyu) 임선영(Sunyoung Im)
간행물 정보
『질적탐구』제7권 제4호, 151~18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아버지의 죽음은 청소년기 성장과정은 물론이고 성인기의 삶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기에 경험한 아버지의 죽음을 청소년기와 성인기를 포함하여 삶의 전체 과정에서 조망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번 연구는 청소년기에 아버지와 사별한 성인의 경험에 드러난 아버지 죽음의 의미와 본질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청소년기에 아버지와 사별한 성인 9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밴 매넌의 체험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한 결과, 청소년기에 아버지의 죽음을 겪은 성인의 경험은 247개의 개별주제, 45개의 드러난 주제, 20개의 본질적 주제로 나타났다. 이렇게 도출된 경험을 밴 매넌이 실존적 탐구의 길잡이로 제시했던 4개의 근본적 실존체(시간성, 몸성, 관계성, 공간성) 차원에서 재배열하였고, 연구결과를 통해 개별적이면서 공통적인 아버지 사별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한 어른아이 현상, 무죄한 죄인이라는 인식과 스스로 떠맡은 과도한 책임, 침묵의 배려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Experiencing father’s death in adolescence may have an impact on not only growing process but also the life as an adult. Therefore, it would be meaningful to look into the impact of father’s death in adolescence across the entire life cycle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essence of father’s death which were revealed through experience of as an adult whose father passed away during his/her adolesc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participants, experiencing father’s death during adolescence.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van-Manen′s method for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and 247 individual themes, 45 revealed themes, and 20 essential themes were drawn. The findings were rearranged into four fundamental existentials of lived body, lived space, lived time, and lived human relation. The meaning and essence that was personal and common at the same time were revealed from each participant’s experience. As key findings, it was discussed on being adultized children, recognizing them as innocent sinners and excessive responsibility, and consideration of silence.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검토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연구의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희(Kyunghee Kim),유지영(Jiyoung Lyu),임선영(Sunyoung Im). (2021).청소년기 아버지와 사별이 성장과정과 성인기 삶에 미치는 영향. 질적탐구, 7 (4), 151-184

MLA

김경희(Kyunghee Kim),유지영(Jiyoung Lyu),임선영(Sunyoung Im). "청소년기 아버지와 사별이 성장과정과 성인기 삶에 미치는 영향." 질적탐구, 7.4(2021): 151-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