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식물 명칭의 형성 연구

이용수 141

영문명
A Study on the Formation of Korean Josa or Ending Combined Plant Names
발행기관
형태론
저자명
왕사우(Wang Siyu)
간행물 정보
『형태론』형태론 23권 2호, 128~149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어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그동안 명사의 형성을 다루어 온 논의들은 그 대상이 주로 합성어와 파생어에만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단순히 합성과 파생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통사적인 요소인 조사나 어미가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흥미로운 것은 그중에 식물 명칭이 많다는 것이다.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는 일반적인 단어뿐만 아니라 식물 명칭도 단어 형성에 의미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사·어미 결합형 식물 명칭에 주목하여 논의하였다. 조사·어미 결합형 식물 명칭은 주로 관형격 조사 ‘의’ 결합형 식물 명칭, 보조사 ‘도’ 결합형 식물 명칭, 관형사형 어미 ‘-(으)ㄴ’ 결합형 식물 명칭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 세 가지 유형의 양상을 살펴본 다음 이들의 형성과 공시적 단어화를 논의하였다. 이들 단어는 명명의 욕구에 의해 구의 공시적 단어화 과정을 거쳐서 형성된 것이다. 또한, 단어 형성 기제로서의 유추도 조사·어미 결합형 식물 명칭의 형성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 논문은 유추를 크게 표면적 유추와 유추의 틀로 분류함에 기반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조사·어미 결합형 식물 명칭을 유추로 설명할 수 있을뿐더러 그 정도가 유사성에 따라 차이가 난다고 할 수 있다. 즉 유추의 틀로 분석하여 “‘나도/너도’류 > ‘가는’류 > ‘닭의’류”로 유추의 정도가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유추에 의한 단어 형성도 경우에 따라 정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서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한국어의 조사·어미 결합형 식물 명칭에 대해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사·어미 결합형 단어와 관련된 연구에 대해서도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Josa(the case marker in Korean) and Ending are features of Korean which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Josa and Ending are grammatical elements that exist not only in phrases, but also inside words. The discussions dealing with the formation of nouns focused mainly on compound words and derivatives in previous researches. However, there are also considerable situations that Josa or Ending is involved in word formation, which cannot be simply explained by compounding or derivation. In this paper, plant names were focused on, as typical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Josa or Ending combined plant names were divided into “genitive marker ‘ui’ combined plant names”, “auxiliary particle ‘do’ combined plant names” and “adnominal ending ‘-(eu)n’ combined plant names”. The aspects of these three types were examined firstly and then their formations were discussed. These words are formed by the desire for naming, and are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synchronical wordization of phrases. In addition, analogy as a mechanism for word formation also plays a major role in the formation of Josa or Ending combined plant names. In this paper, the discussion was develop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analogies into ‘surface analogy’ and ‘analogy with schema’. It can be said that the Josa or Ending combined plant names can be explained by analogy, and what’s more the degree of analogy varies from similarity to similarity. Considering this point, there may be differences by the similarity degree of analogical word formation. This study will linguistically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aspect, formation and meaning of Korean Josa or Ending combined plant names, as well as a valuable study related to Josa or Ending combined nouns.

목차

1. 머리말
2. 조사·어미 결합형 식물 명칭의 양상
3. 조사·어미 결합형 식물 명칭의 형성과 공시적 단어화
4. 유추의 관점에서 본 조사·어미 결합형 식물 명칭의 형성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왕사우(Wang Siyu). (2021).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식물 명칭의 형성 연구. 형태론, 23 (2), 128-149

MLA

왕사우(Wang Siyu). "한국어 조사·어미 결합형 식물 명칭의 형성 연구." 형태론, 23.2(2021): 128-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