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신입생의 지각된 역량과 학습기대에 따른 잠재집단별 학습참여의 차이

이용수 15

영문명
The Difference in Student Engagement in Latent Groups according to the Perceived Competencies and Learning Expectations of University Freshmen: Focusing on S University in Gwangju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김효원(Kim, Hyo won)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36권 제4호, 145~16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역량과 학습기대에 따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잠재집단이 도출되는지 탐색하고, 잠재집단 간 학습참여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대학생 교수학습 과정 조사(NASEL) 자료를 활용하여, 2019년에 광주 지역 S 대학에 입학한 남녀 신입생 497명을 분석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대학의 신입생은 3개의 잠재집단이 도출되었으며 첫째 집단은 역량-학습기대 높은 집단, 둘째 집단은 역량-학습기대 보통 집단, 셋째 집단은 비인지적 역량-학습기대 낮은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잠재집단 간 학습참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역량에 대한 지각과 학습기대가 높은 신입생 집단일수록 인지적 참여(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 정서적 참여(수업만족도, 교육지원서비스만족도), 행동적 참여(수업참여, 교수/동료와의 상호작용, 교육지원서비스 활용)가 높았으며, 특히 비인지적 역량과 학습기대가 낮은 신입생 집단은 학습참여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대학 신입생의 학습참여 신장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roups with similar responses using the perceived competencies and learning expectations of university freshmen,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student engagement for each groups. For these purpose, 497 male and female freshmen enrolled in 2019 at S university in Gwangju participated in a NASEL(National Assessment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ata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group was called ‘perceived competencies - learning expectation high group’ with high competencies and learning expectations, the second group was called ‘perceived competencies- learning expectation average group’, and the third group was called ‘perceived nonacademic competencies - learning expectation low group’.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otal scores of student engagem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and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competencies and learning expectations, the higher the engagement in learning(all with respect to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engag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o increase student engagement and educational learning outcom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효원(Kim, Hyo won). (2020).대학 신입생의 지각된 역량과 학습기대에 따른 잠재집단별 학습참여의 차이. 교원교육, 36 (4), 145-166

MLA

김효원(Kim, Hyo won). "대학 신입생의 지각된 역량과 학습기대에 따른 잠재집단별 학습참여의 차이." 교원교육, 36.4(2020): 145-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