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근로자의 주도적 경력행동과 예측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266

영문명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Career Behavior and Predictive Factors of Female Workers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우성미(Sungmi Woo)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110호, 63~9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0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근로자의 주도적 경력행동을 탐색하기 위하여 사회인지경력이론과 목표설정이론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예측요인을 탐색하고 연구모형을 제시하여 검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민간기업에 근무하는 여성 임금근로자 58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모형의 적합성과 연구변인 간의 직・간접경로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인지경력이론과 목표설정이론의 통합에 따른 연구모형은 적합하였다. 또한 연구변인 간의 관계에서 결과기대와 주도적 경력행동, 목표구체성과 주도적 경력행동을 제외한 직접효과는 유의했으며, 다양한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틀 토대로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지경력이론과 목표설정이론의 통합모형을 실증함으로써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둘째, 여성근로자의 주도적 경력행동의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은 중요한 예측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결과기대는 다른 예측 요인에 선행하여 주도적 경력행동을 이끄는 역할을 하였다. 넷째, 여성근로자에게 직무에서의 도전적인 목표설정과 몰입은 개인적‧조직적 차원의 경력개발 기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career behavior and the predictive factors of female workers. For the purpose, this study presented a research model integrating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goal setting theory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explain the proactive career behavior of female workers. For the purpose, 589 samples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below. The research model was fit to explain integrating theory.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direct effects excluding outcome expectation and proactive career behavior, goal specificity and proactive career behavior were significant, and indirect effects were varied.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he contributed to theoretical expansion by demonstrating the integration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goal setting theor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is an important predictor in the process of female worker-led career behavior. Third, outcome expectations played a role in guiding leading career behavior ahead of other predictors. Fourth, challenging goal setting and commitment in the job for female workers can be a factor in career development on a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성미(Sungmi Woo). (2021).여성근로자의 주도적 경력행동과 예측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여성연구, , 63-91

MLA

우성미(Sungmi Woo). "여성근로자의 주도적 경력행동과 예측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여성연구, .(2021): 63-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