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기독교사립고등학교 종교수업모형에 관한 탐색적 질적 연구

이용수 10

영문명
Religion Class Models in Christian Private Secondary School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유은희(Yoo, Eun Hee)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55집, 231~27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컨텍스트의 변화와 세계 여러 나라의 공립학교에서의 종교수업에 대한 학문적 논의, 국가교육과정의 종교학적 종교수업에 관한 요구 속에서, 한국기독교 사립학교에서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종교수업유형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복음교수 혹은 신앙고백적, 통합교과적, 변증적, 그리고 종교학적 종교수업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종교수업의 성격은 다원주의적 상황과 최근 지속되는 공교육에서 종교교육 및 종교수업유형에 관한 논의와 같은 거시적 컨텍스트과 이론적 논의들에 영향을 받기 보다는 종교교사 개인의 은사, 경험, 흥미, 지식 등의 자원을 어떻게 활용하는 가에 따라서 다른 형식을 띠게 되었다. 새롭게 발견한 두 가지 사실 중 첫째는, 중등학교에서의 종교수업의 가능성, 가치, 의미였다. 종교수업에서 학생들은 종교와 사회문제, 청소년 시기의 다양한 고민과 삶의 문제들에 관한 질문들을 자유롭게 제기할 수 있었다. 두 번째는 어떤 종교수업 유형을 취하는 가보다 더 중요한 것은 종교교사와 교목과 학생들 사이의 인격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였다. 그 관계와 함께, 종교교사들은 학생들의 주목과 공감을 얻어낼 수 있었다. 종교수업은 정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교양과 같은 인문학수업이면서, 상담수업이었고, 인성과 윤리, 세계관, 구속사를 다루는 성경수업이면서 종교수업이었다. 교목과 종교교사의 실천공동체 활성화를 통해 다원성을 위협하지 않으면서 진리를 공적인 자리에서 논할 수 있는 종교교수방법에 대한 더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ligious education models at secondary schools jn Korea. Changes of socio - cultural contexts and demographics have facilitated the academic debates on the nature of religious education in the public schools across countries in the world. This qualitative study concerns how Chaplains and religion teachers implement religion classes in the midst of macro changes in context, academic paradigms about religion class and guidelines of Ministry of Education about religious education.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are four models of religion classes: confessional model, Interdisciplinary model, apologetic model and a model of religious study. The nature of religious instruction is not so much influenced by macro contexts and theoretical discussions as it takes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how religion teachers understand their identity, how the school stakeholders and school culture supports and personal resources such as individual gifts, experiences, interests, and knowledge are utilized. Because of the nature of religious classes that can not be controlled externally, it is a key qualification for religious teachers and school pastors to run classes in a way that they can relate to in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students. In such a religious class, it was possible to obtain positive feedbacks and changes from students regardless of instructions of faith confession which engages a strong element of infusion and persuasions or religious education which only disseminates objective facts.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religious education was a liberal arts class, a counseling class, a Bible class that deals with personality, ethics, world view, and redemption, but it was still a religious class. The study participants class showed the possibility, value, and meaning of religious instruction in secondary school. Further discussions on the teaching methodology of religion that can discuss the truth in public space without threatening pluralism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communities of activity of the school pastors and the religion teachers are needed.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연구 설계 및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은희(Yoo, Eun Hee). (2018).한국 기독교사립고등학교 종교수업모형에 관한 탐색적 질적 연구. 기독교교육 논총, 55 , 231-270

MLA

유은희(Yoo, Eun Hee). "한국 기독교사립고등학교 종교수업모형에 관한 탐색적 질적 연구." 기독교교육 논총, 55.(2018): 231-2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