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군중은 비진리다’: 르네 지라르와 키에르케고어 그리고 무신론적 신존주 의 철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

이용수 88

영문명
The Crowd is Untruth : René Girard and Søren Kierkegaard and Critical Reflection of Atheistic Existentialism
발행기관
한국기독교철학회
저자명
정일권(Chung Ilkwaen)
간행물 정보
『기독교철학』제30호, 109~13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군중은 비진리다”라고 주장한 실존주의 철학의 아버지 키에르케고어의 기독교 실존주의 철학과 그 이후의 독일 하이데거와 프랑스의 샤르트르와 시몬 드 보부아르에게서 발견되는 무신론적이고 신이교주의적인 실존주의 철학의 차이를 이해하려고 한다. 이러한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우선 ‘군중은 비진리다’라는 화두로 키에르케고어와 르네 지라르 사유의 유사성을 비교연구한 이후, 니체와 하이데거 등에 대한 지라르의 연구에 기초해서 무신론적 실존주의 철학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니체와 하이데거의 철학을 허무주의적 실존주의로 파악해서 현대의 새로운 영지주의로 분석한 한스 요나스의 연구도 이 비판적 성찰을 위해서 소개될 것이다. 키에르케고어가 말한 신 앞에서의 단독자와 니체와 하이데거가 자신들의 디오니소스적 메시야주의 속에서 선택한 군중의 신 디오니소스는 대조된다. 키에르케고어는 ‘신 앞에서 선 단독자’ 개념을 통해서 군중은 비진리라고 주장한다. 키에르케고어에게 있어 기독교는 개인이고, 여기에 있는 단독자이다.” 하지만 키에르케고어 이후의 실존주의 철학은 집단주의로서의 사회주의적 실존주의로 기울게 된다. 키에르케고어의 경우처럼 하나님 앞에서의 단독자가 실존주의 철학의 중심이 아니라, 니체와 하이데거의 허무주의적 실존주의 철학에서는 군중의 신인 디오니소스가 중심에 자리잡게 된다. 키에르케고어와 칼 야스퍼스와 같이 실존주의 철학을 기독교적인 사유 틀 안에서 전개한 철학자들과는 달리 독일의 마틴 하이데거와 그 이후의 프랑스의 사르트르와 시몬 드 보부아르와 같은 반항적이고 무신론적 실존주의 철학자들이 좌우 사회주의 사상으로 기울어진 것을 철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하이데거의 실존주의 철학에는 기독교적 실존주의 철학을 대변했던 키에르케고어와는 달리 허무주의적, 사회주의적, 영지주의적 그리고 신이교적 차원이 존재함을 소개할 것이다. 우선 르네 지라르에 대한 짧은 학문적 소개와 함께 그의 프랑스 미학적 실존주의에 대한 비판적 입장부터 논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ovides critical reflection of the socialist and gnostic dimension of nihilistic existentialism of Nietzsche and Heidegger. For Kierkegaard and Girard, The Crowd Is Untruth. For Girard, Dionysos is crowd and mob. For Kierkegaard, Christianity is a matter of the single individual s unique relation to Christ. In The Single Individual he repeatedly asserts that the crowd is untruth . He begins with the subject of politics. This is especially significant because politics emphasizes the whole, while Christianity, as proffered by Kierkegaard, emphasizes the individual before God. Rene Girard s concept that human psychology begins with a sense of lack or personal deficiency is compared with Kierkegaard s notion of the incompleteness of the self. Mimetic desire, as it is described by Girard, is a phenomenon that Kierkegaard was keenly aware of. Both authors show that mimetic desire leads to a situation captured by the phrase ”the crowd is untruth.” The synthesis of Kierkegaard and Girard produces a very powerful Christian interpretation of the psychology of violence. Kierkegaard s phrase the crowd is untruth perfectly summarizes Girard s social theory. This paper also examines critically the so-called dionysian dimension of nihilistic existentialism of Nietzche and Heidegger. The most prominent and comprehensive critic of philosophical postmodernism is Jürgen Habermas. In The Philosophical Discourse of Modernity , he criticizes Nietzsche s Dionysianism as a compensatory gesture toward the loss of unity in Western culture that, in pre-modern times, was provided by religion. Nietzsche s sense of a new Dionysus in modern art, moreover, is based upon an aesthetic modernism in which art acquires its experimental power by separating itself from the values of science and morality, a separation accomplished by the modern Enlightenment, resulting in the loss of organic unity Nietzsche seeks to restore via art itself. Habermas sees Heidegger and Derrida as heirs to this “Dionysian messianism.” René Girard is an anthropologist, who has proposed an original hypothesis about the scapegoat mechanism and the relation between violence and religion. Girard approaches the work of F. Nietzsche showing the two faces he finds out in the thinker: his intuition about the hidden truth of violence; and his rejection of this truth, to return to the violent origins of culture. Nietzsche sees Dionysus as the opposite of the mob, the individual, whereas it is obvious from Euripides and from everything we know, and the most elementary common sense, that Dionysus is the mob, is that mania, that homicidal fury of the lynch mob that the tragedy portrays.

목차

I. 르네 지라르의 프랑스 미학적 실존주의 비판
Ⅱ. 군중의 신 디오니소스: 니체와 하이데거의 허무주의적 실존주의
Ⅲ. 하이데거와 사르트르: 무신론적 실존주의는 반휴머니즘이다
Ⅳ.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일권(Chung Ilkwaen). (2020).‘군중은 비진리다’: 르네 지라르와 키에르케고어 그리고 무신론적 신존주 의 철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 기독교철학, 2020 (30), 109-136

MLA

정일권(Chung Ilkwaen). "‘군중은 비진리다’: 르네 지라르와 키에르케고어 그리고 무신론적 신존주 의 철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 기독교철학, 2020.30(2020): 109-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