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층화 절차를 활용한 스마트폰 모델링이 발달장애학생의 주거자립기술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the Smart Phone Modeling using Multi-floored Proceedings on the Residential Independent Skills for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Based on a Single Case Study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김영준(Kim, Young-Jun) 도명애(Do, Myung-Ae)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7권 제4호, 109~13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0.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스마트폰은 발달장애학생의 학습 흥미와 동기, 주의집중을 높일 뿐 아니라, 발달장애학생이 시각적 자극과 촉각적 자극을 통합한 학습스타일의 활용체계에 따라 기능적 생활중심의 교육과정의 지식을 구체적이고 수월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층화 절차를 활용한 스마트폰 모델링이 발달장애학생의 주거자립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통해 발달장애학생이 효과적인 모방학습을 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가운데, 모방학습의 절차에 대해 1층에서 3층의 형태로 융통하여 타인모방과 자기모방을 포함시켰다. 그리고 발달장애학생이 습득하는 목표행동인 주거자립기술의 경우 옷 정리, 설거지, 운동화 빨기와 같이 세 가지 하위기술로써 분류 및 적용되었다. 연구방법은 단일대상연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른 실험설계는 행동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학생은 다층화 절차를 활용한 스마트폰 모델링을 통해 주거자립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 및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검증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기능적 관계 차원에서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mart phone modeling using multi-floored proceedings on the acquisition of residential independent skills of a middle school student of a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participant was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therefore the request on the necessity for independence living acquisition in house. The target behavior which was the acquisition of residential independent skills consisted of three sub-skills: arrange clothes, dish-washing, and wash sports shoes. The 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The smart phone modeling using multi-floored proceedings used three factors such as preliminary others modeling of direct experience, practical others modeling of indirect experience, and self-modeling. Along with the mutual cooperation of three factors maintained the pattern of the package form.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a student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was effectively acquired by the behaviors. Also, the newly acquired skills were maintained following the termination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perspective of modeling learning using smart phone for independent living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준(Kim, Young-Jun),도명애(Do, Myung-Ae). (2014).다층화 절차를 활용한 스마트폰 모델링이 발달장애학생의 주거자립기술에 미치는 효과.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7 (4), 109-136

MLA

김영준(Kim, Young-Jun),도명애(Do, Myung-Ae). "다층화 절차를 활용한 스마트폰 모델링이 발달장애학생의 주거자립기술에 미치는 효과."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7.4(2014): 109-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