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Housing Poverty & Gender Safety in one-person households of young women

이용수 3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주거환경학회
저자명
김선주(Kim, Sun-Ju) 박민주(Park, Min-Ju)
간행물 정보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9권 제2호 (통권 제52호), 89~9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30세대 여성 1인 가구의 주거 빈곤과 젠더 안전 문제를 조사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보다 여성이 주거의 경제적 부담이 크다. 둘째, 대부분의 2030세대 여성 1인 가구는 젠더 안전을 스스로 부담하고 있으며 부동산, 임차인, 국가 정책은 모두 여성의 안전에 별로 관심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2030세대 여성 1인 가구의 젠더 안전 문제는 주거 지역의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상당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트 폭력과 이웃 남성의 위협적인 벽 소음과 같은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면서 여성들은 값 비싼 여성 전용 주거시설을 선호하게 된다. 넷째, 주택의 젠더 안전 문제는 성별 임금 격차와 함께 여성 빈곤을 가속화하는 것으로 보인다. 2030세대 여성의 1인 가구는 남성보다 안전 문제로 인해 남성보다 월세 지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임금 격차가 크고 안전상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은 돈을 지출하기 때문에 1인 가구에 대한 직접적인 재정 지원은 다양한 각도에서 마련되어야한다. 둘째, 1인 가구에 비상 벨, 호신 용품, 보안 창문, 문 이동 감시 앱 등을 설치할 때 정부의 비용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젠더 관점에서 기존의 제도와 시설을 재건·확대하는 것이 시급하다. 넷째, 임대 건물 및 구역에 대한 (성별) 안전 정보를 명확하고 확실하게 공개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2030세대 여성 1인 가구의 주거 안전과 재정적 부담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and suggesting the housing poverty and gender safety issues in young women’s one-person househol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burden of housing is greater in women than in men, with women showing a higher rate of monthly rent or housing-related monthly expenditure than men. Second, the majority of young women’s one-person households are paying for gender safety by their own, and they feel that real estate, renters and national policies are all not very interested in women s safety. Third, gender safety issues in one-person households of young women appear to be quite serious indoors as well as outdoors in residential areas. As problems such as dating violence and threatening wall noise by neighboring men become more serious, women prefer expensive women-only residential facilities. Fourth, the gender safety problem of housing appears to accelerate the poverty of women along with a large gender wage gap. Young women’s one-person households pay more monthly rent than men s mainly due to safety concerns, even though they have less capital than men. According to a series of studies,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gender wage gap is large and women spend more money than men because of safety, direct financial support for one-person households should be arranged from various angles. Second,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provide various cost support when installing emergency bells, self-defense products, security windows, and door movement monitoring apps for one-person households. Third, it is urgent to reconstruct and expand existing systems and facilities from a gender perspective. Fourth,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gender) safety information for rental buildings and areas is clearly and surely disclosed. Fifth, social interests about housing safety and financial burden of young one-person households are also needed.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ology
Ⅳ. Research Results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주(Kim, Sun-Ju),박민주(Park, Min-Ju). (2021).The Housing Poverty & Gender Safety in one-person households of young women.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19 (2), 89-98

MLA

김선주(Kim, Sun-Ju),박민주(Park, Min-Ju). "The Housing Poverty & Gender Safety in one-person households of young women."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19.2(2021): 89-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