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영유아보육교사가 지각한 취학유예 장애아동 지도경험의 현상학적 의미 분석

이용수 109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eaching Experien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th Delayed School Entry Experience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김현정(Kim, Hyeon-Jung)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5권 제2호, 7~3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영유아보육교사가 경험한 현상과 그 관계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면서 참여자의 공통적인 속성을 통해 교사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는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취학을 유예한 장애아동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6인의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보육 활동 경험에 대해 각각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심층면접을 통해 얻어진 자료에 대해 주제 분석을 진행하여 4개의 본질적 주제와 13개의 하위주제들을 도출하였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장애영유아보육교사들이 지각한 취학유예 장애아동과의 경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장애아동이 어린이집 환경을 통해 학교 준비도를 갖춰 유예를 끝내고 취학의 문으로 갈 수 있도록 학습을 위한 교사의 본질에 충실하고 있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아동들과의 상호작용에서 신체접촉과 감각을 통해 부모의 마음으로 대하면서 정서에 기반한 상호작용을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취학유예 장애아동과의 경험을 통해 교사관의 변화를 겪고 있었는데, 취학에의 준비를 마치지 못하여 같은 곳에 머무르는 장애아동을 담임하는 새로운 경험을 통해 자신의 교사관과 아동을 위한 목표를 돌아보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취학유예로 인한 과연령 아동을 돌보는 교사의 고충과 노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사로서의 인간적 본질을 들여다보게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to explore the phenomena experienced by child care teach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meaning of their relationship experiences, an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teaching experience through the common attributes of participants. For the study, in-depth interviews about their experience in childcare activities were conducted on each of the six research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 teach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delayed entry into school. And than,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to derive 4 essential themes and 13 sub-themes.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are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were faithful to the nature of the teacher for teaching so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complete school readiness through the daycare environment and attend school. Second, the participants were trying to elicit an emotional-based interaction by treating them with the parental mind through physical contact and feeling. Third, the participants were undergoing a change in the view of teacher through their experience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delayed entry into school. They were able to look back on their view of teacher and goal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a new experience of teach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stayed in the same place because they were unable to complete their preparation for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grievances and hard work of teachers who care for older children due to delayed school entry, let us look into the human nature of child care teach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정(Kim, Hyeon-Jung). (2021).장애영유아보육교사가 지각한 취학유예 장애아동 지도경험의 현상학적 의미 분석.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5 (2), 7-39

MLA

김현정(Kim, Hyeon-Jung). "장애영유아보육교사가 지각한 취학유예 장애아동 지도경험의 현상학적 의미 분석."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5.2(2021): 7-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