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민사소송상 인공지능 법관에 관한 소고

이용수 845

영문명
A Few Thoughts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Judge in the Civil Procedure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저자명
김도훈(Kim Do Hoon)
간행물 정보
『법학논문집』法學論文集 第45輯 第1號, 57~8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법률분야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것을 넘어 인공지능이 법관을 대체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주어진 현실만을 놓고 판단했을 때, 현재 법률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은 법관을 대체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까닭은 기계학습의 발전과 빅데이터 활용에 따라 실현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증가하였고, 업무효율성 강화, 재판불신 극복, 법관 수 부족 해결 등 인공지능 법관의 필요성을 인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인공지능의 필요성이 인정될 수 있다면 현재의 기술로 그 구현이 어렵더라도 현 제도 하에서 그 실현이 가능한지 그리고 현재 필요한 노력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고민해 볼 가치가 있을 것이다. 인공지능 법관의 필요성이 인정되고, 기술적 실현가능성이 기대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는 한계가 비교적 명확해 보인다. 첫째, 인공지능 법관에 의한 판결은 일관성은 유지되겠지만, 공정한 재판보다 획일적인 재판이 될 가능성이 더 높다. 둘째, 인공지능 법관은 인간의 다양한 가치관을 제대로 반영하기 어렵고, 잘못된 사회통념이 반영 및 발현될 가능성이 있다. 셋째, 인공지능 법관은 심리원칙에 따른 사실관계 확정을 적절히 수행해 내기 어렵다. 또한 인공지능은 기대의 대상이면서 불신의 대상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충분한 신뢰를 얻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인공지능 법관의 전격적 도입은 어렵다. 하지만 향후 인공지능 기술의 보편화로 인공지능 법관의 기술적 실현이 가능하고 국민의 신뢰까지 얻게 된다면, 어떤 제도적 변화가 수반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민해 볼 여지가 있다. 첫째, 인공지능 법관으로의 전면 대체는 바람직한 방향이 아니며 다수의 지지를 받기도 어렵다. 즉 인공지능 법관을 도입한다고 하더라도, 일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추진될 수 있을 뿐이다. 둘째, 인공지능 역시 판단에 오류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인공지능 법관에 의한 재판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소가 가능해야 한다. 셋째, 인공지능 법관은 사실심을 담당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그 중에서도 제1심만 담당하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넷째, 인공지능 법관을 도입하여 활용할 수 있는 시범사업 대상으로는 소액사건이 합리적이다. 다만 소액사건 중에서 다시 금액과 유형에 따른 제한을 하고, 선택적 요소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 인공지능이 모든 재판업무에 있어 법관의 역할을 온전히 수행하기를 기대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하지만 인공지능 법관의 가능성 유무에 대해 막연히 부정적으로 평가하거나 비판하기보다 사용가능한 기술을 어떻게 적절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인지를 고민하고 이를 실제에 적용해 보는 것이 합리적인 접근법이라 생각한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고 변화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이에 재판업무에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인공지능 법관 역시 부수적으로 함께 시범사업으로 진행해 보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이라 생각한다. 또한 인공지능의 바람직한 활용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주기적인 교육이 수반되어야 하고, 법조인에게 기술역량 구비가 요구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Recently, in the legal field, discussions have been made on whether AI can replace judges beyond the use of AI. Judging by only the given reality, it seems that the AI technology currently used in the legal field has not reached the level that can replace judges. Nevertheless, the discussion is ongoing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with the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 and the use of big data, expectations for feasibility have increased. Second, the need for AI judges is recognized by enhancing work efficiency, overcoming trial mistrust, and solving the lack of number of judges. If the necessity of an AI judge can be acknowledged, it will be worth considering whether it can be realized under the current system and what efforts are currently needed, even if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it with the current technology. Even if the need for an AI judge is recognized and technical feasibility is expected, the limitations seem relatively clear at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First, the judgment by an AI judge will remain consistent, but it is more likely to be a uniform trial than a fair trial. Second, it is difficult for AI judges to properly reflect various human values,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false social norms may be reflected and expressed. Third, it is difficult for AI judges to properly determine the facts according to the trial principles. In addition, AI has not gained sufficient trust in that it is both an expected object and an object of distrus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fully introduce an AI judge at this time. However, if AI technology becomes common in the future, it becomes technically feasible for AI judges, and AI gains the public s trust, there is room to consider what institutional changes should be accompanied. First, the full substitution of AI judges is not a desirable direction, and it is difficult to receive a large number of support. In other words, even if an AI judge is introduced, it can only be promoted in the form of accommodating some. Second,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judgment of AI as well, an appeal should be possible in order to secure the fairness of the trial by an AI judge. Third, it is rational for AI judges to be in charge of factual trials, and among them, it is reasonable to have only the first trial. Fourth, as a pilot project that can introduce and utilize AI judges, a small amount case is reasonable.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limit according to the amount and type, and to introduce an optional element among small claims cases. At the current level of technology, it is not appropriate to expect AI to fully perform the role of judges in all judicial affairs. However, rather than vaguely negatively evaluating or criticizing the possibility of AI judges, I think it is a reasonable approach to consider how to properly use the available technologies and apply them in practice. Through this, practical possibilities can be identified and a basis for change can be laid.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a reasonable option to focus on the use of AI in the judicial affairs, and to proceed as a pilot project with AI judges. In addition, systematic and periodic education should be accompanied in order to utilize AI, and legal professionals should be equipped with technological competence.

목차

Ⅰ. 서설
Ⅱ. 인공지능 법관의 필요여부와 기술적 실현가능성
Ⅲ. 인공지능 법관의 가능성과 한계
Ⅳ. 인공지능 법관 도입 시 활용가능 범위
Ⅴ.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훈(Kim Do Hoon). (2021).민사소송상 인공지능 법관에 관한 소고. 법학논문집, 45 (1), 57-88

MLA

김도훈(Kim Do Hoon). "민사소송상 인공지능 법관에 관한 소고." 법학논문집, 45.1(2021): 57-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