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수에 따른 아동의 건강체력 및 하지근력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ison of Health-Related Fitness and Isokinetic Knee Strength in Children According to the Numbers of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 발행기관
- 대한운동학회
- 저자명
- 정진욱(Chung, Jin-Wook) 이혜영(Lee, Hye-Young) 진영수(Jin, Young-Soo)
- 간행물 정보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제12권 제2호, 23~3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론]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수에 따른 건강체력과 하지근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방법] 서울시에 거주하는 건강한 7~12세의 초등학생 71명이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위험인자 수에 따라 위험인자가 하나도 없는 그룹(그룹 1; n=8), 1개인 그룹 (그룹 2; n=26), 2개인 그룹(그룹 3; n=25), 3개 이상인 그룹 (그룹 4; n=12)로 분류되었다. 대사증후군 군집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TG, HDL-C, 공복혈당, 혈압, 복부둘레를 측정하였으며, 건강체력을 비교하기 위해 6분 걷기, 악력, 컬업, 팔굽혀펴기, 좌전굴, 체지방률을 측정하였다. 하지근력 측정을 위해 cybex 770을 60 and 180〫/sec에서 실시하였다. [결과]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중 TG(p<.001), HDL-C(p<.01), 공복혈당(p<.01), 혈압(p<.001), 복부둘레(p<.001)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건강체력에서는 컬업(p<.05)과 체지방률(p<.001)에서 그룹 간 차이가 나타났다. 등속성 하지근력 측정결과, 60〫/sec에서는 우측 굴근(p<.05)과 좌우측 신근(p<.05)의 최대토크, 180〫/sec에서는 좌측 굴근의 상대토크(p<.05), 좌우측 신근의 최대토크(p<.05)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정상체중에서도 대사증후군 발생률이 높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비만정도가 높지 않은 아이들에게 있어서는 신체구성 및 근지구력이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수의 차이 구별에 더 민감한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INTRODUCTION]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health-related fitness and isokinetic knee strength according to the clustering of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METHOD] Healthy mal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ged from 7 to 12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number of risk factors; group 1 with no factor(n=8), group 2 with 1 factor(n=26), group 3 with 2 factors(n=25), group 4 with more than 3 factors(n=12). As a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TG, HDL-C, fasting blood glucose(FBG), blood pressure(BP), and waist circumference(WC) were measured. Health-related fitness were measure by 6min walk, hand grip, curl up, push up, sit and reach, and %body fat. Knee isokinetic strength was measured by cybex 770 at 60 and 180〫/sec. [RESULT] TG(p<.001), HDL-C(p<.01), FBG(p<.01), BP(p<.001), and WC(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health related fitness, curl-up(p<.05) and %body fat(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isokinetic strength, absolute peak torque of right flexor(p<.05) and both side extensors(p<.05) at 60〫/sec and both side extensors(p<.05) relative peak torque of left flexor(p<.05) at 180〫/sec showed the differences. [CONCLUSION] Fitness other than %bodyfat and muscular endurance does not seem to be sensive enough to explai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of non-obese children.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웨이트트레이닝 시 DHEA섭취가 혈중 테스토스테론과 지질에 미치는 영향
- 한국무용 참가가 노인의 운동능력과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 12주 태권도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중년비만여성의 신체 구성 및 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
- 요추간판탈출증 환자의 8주간 저항성 트레이닝 적용이 염증성인자 및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 캠퍼스간 순환로에 따른 에너지소비량과 운동강도 비교
- 12주의 K-Bar웨이트트레이닝이 주니어 엘리트 선수의 신체 정렬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수에 따른 아동의 건강체력 및 하지근력 비교
- 태권도 수련이 중학생의 체력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 장기간의 운동중재가 노인의 건강체력, 혈압 및 혈당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