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적개발원조(ODA)와 지역사회개발에서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

이용수 195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ODA and social capital in rural community development: Focused on the Concept of Embeddedness and Autonomy*
발행기관
대한관광경영학회
저자명
박용순(Park, Yongsoon) 고동완(Ko, Dongwan)
간행물 정보
『관광연구』제36권 제2호, 45~6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회적 자본은 ODA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장 잘 설명하는 주요한 키워드이다. UN의 SDGs가 제시된 이후 ODA사업은 공여국의 경제적 측면에서 효과성을 벗어나 수원국의 주체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내생적 발전전략을 중요하게 바라보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에 대해서 고찰하고 있는 Woolcock의 배태성과 자율성 개념을 적용하여 ODA 수원국의 지역사회개발에 대해서 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 그리고 통합적인 관점으로 사회적 자본의 확충에 대해서 탐구하고 있다. 논의결과, 미시적 측면에서는 공동체 구성원 간의 통합과 연계라는 과정과 결과로서 사회적 자본의 확충이 필요하다면, 거시적 측면에서는 협력적 관계구축과 법ㆍ제도의 마련을 통해 지역사회를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통합적 관점에서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밑으로부터는 지역사회 구성원의 통합과 위로부터는 행정(중앙, 지방)의 지원이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내생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한 기여는 ODA사업의 공여와 수원이라는 주종관계가 아니라 상호 파트너십으로서의 수평적 관계를 통해 공여국의 개발경험을 수원국과 공유하고, 이를 통해 ODA사업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사회적 자본을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ODA 수원국의 지역사회개발이 내생적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의 미시적 측면과 거시적 측면이 상호 보완적으로 이루질 때 성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Social capital is the main keyword that best describes the change in the ODA paradigm. Since the UN s SDGs were presented, the ODA project is looking at an endogenous development strategy that emphasizes the subjective role of the recipient country, out of effectiveness in the economic aspect of the donor country. This study applies Woolcock s concept of embeddedness and autonomy, which is examining social capital, and explores the construction of social capital from a micro, macro and an integrated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communities in ODA recipient countries. As a result, in the microscopic aspect, it is necessary to expand social capital through integration and connection among community members, In the macroscopic aspe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systematically support communiti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relations and provision of laws and systems. In addition,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he integration of community members from the bottom and support from the administration (central, local) from the top can promote sustainable endogenous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The main contribution in this study is to share the doner country s development experience with the recipient country through a horizontal relationship as mutual partnership rather than the master-slave relationship between donation and recipient of ODA projects. Through this, social capital is being dealt with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ODA project. In conclusion, in order for the ODA recipient country s local community development to achieve endogenous development, it will be possible to achieve results when the micro and macro aspects of social capital are complementar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ODA와 지역사회개발로서 사회적 자본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용순(Park, Yongsoon),고동완(Ko, Dongwan). (2021).공적개발원조(ODA)와 지역사회개발에서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 관광연구, 36 (2), 45-64

MLA

박용순(Park, Yongsoon),고동완(Ko, Dongwan). "공적개발원조(ODA)와 지역사회개발에서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 관광연구, 36.2(2021): 45-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