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정은 체제 이후 영화에서 나타나는 여성이미지 연구

이용수 199

영문명
Female Images in North Korean Films under the Kim Jong-un Regime: Focusing on North Korean Art Films since 2011
발행기관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저자명
정유림(Jung Yu Rim) 오철훈(Oh Chul Hoon)
간행물 정보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1권 제2호, 1~1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복합학 > 감성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15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북한은 정권 수립기부터 가사, 육아, 남녀평등법의 사회화 등 여성의 사회진출을 위해 꾸준히 발전해왔으며 현재는 여성해방이 이루어졌다고 북한 측에서는 이야기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 완벽한 남녀평등의식이 자리 잡지 못했으며 김일성 유일 지배체제 이후 김정일 체제 수립과정 또한 여성들에게 ‘어진 어머니이자 착한 아내’와 동시에 직업을 가진 완벽한 역할을 강조해오고 있다. 1990년 김정일 체제 당시 북한의 최대위기는 경제난이었으며 다시 시행되던 법과 제도가 제대로 실천되지 못하였다. 이와 동시에 북한 여성들은 가족의 생계와 더불어 노동의 부담을 남편과 함께 책임지기 위해 가장의 역할 또한 맡게 되었다. 이후 2011년 김정일 집권체제에서 김정은 체제로 바뀌면서 나타나는 사회적 양상을 주목해야 하는데 객관적으로 북한의 여성이미지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대 차이에 대한 이해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김정일 체제의 선군정치, 공포정치, 경제난 등 부정적인 이미지와는 달리 김정은 체제에서는 리설주, 김여정 등 여성 리더들의 등장으로 획일적 통제사회에서 소프트 파워 정치, 개인의 개성표현 인정 등 북한 사회가 변화였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북한영화 역시 혁명 및 사회주의를 중심으로 제작되었다가 2010년을 기점으로 달라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현재는 ‘정(情)’이라는 키워드를 앞세워 인민과 국가의 관계, 사람들 사이의 정을 주제로 하며 북한 여성이 주체가 된 영화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북한여성 이미지에 대해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은 좀 더 바람직한 남북사회공동체를 구상하고 기여하는 데 목적을 가진다.

영문 초록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insisted that they have worked hard to help women advance in the workplace such as through establishment of the Gender Equality Law and socialization of housework and childcare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ir regime, liberating women from laws and systems. However, gender equality has not been reached yet. During the leadership succession in the post-Kim Jong-il era following Kim Il-sung as well, the hyeonmoyangcheo (‘wise mom and good wife’) was emphasized. The economic recession in 1990 under the Kim Jong-il regime caused an enormous crisis and existing laws and systems were not properly separated. At the same time, North Korean women started to take a role as the head of the family to earn a living and fulfill social labor needs. Since then, the social phenomena that have taken place since the start of Kim Jong-un’s era in 2011 have been closely watched. To analyze changes in North Korea from an objective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nges between the Kim Jong-il and Kim Jong-un regimes. Unlike Kim Jong-il’s reign of terror, poor economy, army-first policy and dark images, the Kim Jong-un regime showed signs of changes in the social economy with the emergence of a female leader in ‘Ri Sol-ju’ through soft-power policy and the high prevalence of mobile phone use (4 million users). The military-first and practical socialism-oriented North Korean films started to change in 2010. Based on socialistic systems, ‘jeong’ (feeling of affection)-themed-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the political party and the affection that can be felt among people–films have been produced. In addition, the number of North Korean woman-themed films has increased. Therefore, a precise analysis of North Korean women images would make a contribution to the construction of a South-North Korean commun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영화에 나타나는 여성이미지의 특징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유림(Jung Yu Rim),오철훈(Oh Chul Hoon). (2019).김정은 체제 이후 영화에서 나타나는 여성이미지 연구.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1 (2), 1-12

MLA

정유림(Jung Yu Rim),오철훈(Oh Chul Hoon). "김정은 체제 이후 영화에서 나타나는 여성이미지 연구."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1.2(2019): 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