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인의 정보보안 행위에 대한 연구

이용수 100

영문명
A Study on Individual’s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발행기관
한국물류학회
저자명
김준우(Kim, Jun-Woo) 전동진(Jeon, Dong-Jin)
간행물 정보
『물류학회지』제31권 제1호, 97~11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무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터넷 환경과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새로운 ICT의 등장에 따라 위험요인이 증가되고 있으며, 정보보안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정보보안의 기존 연구는 주로 조직을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어 개인 차원에서의 보안행위에 대한 분석은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개인의 경우 이러한 위험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개인 차원에서의 보안행위 연구가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정보보안 행위를 설명하는 모델을 보호동기이론(PMT)에 입각하여 모델을 설정하고 보안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모델은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반응 효능감, 지각된 자기효능감, 지각된 반응비용 5개의 요인을 사용했으며, 매개 요인으로는 정보보안 인식, 정보보안 태도, 주관적 규범 3개 요인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취약성은 정보보안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지각된 반응효능감은 주관적 규범과, 정보보안 태도 및 정보보안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반응비용 역시 정보보안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규범, 정보보안 태도, 정보보안 인식 모두 보안행위 의도에 영향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보안 예방 권고 메시지를 구성하는 데 있어 정보보안 위협의 발생 가능성과 대안의 효과성을 중심으로 작성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emergence of new ICT and Internet of Things(IoT), artificial intelligence(AI) has become a risk factors are increasing, and information s ecurity has become an important i ssue. Existing research on information s ecurity has been conducted p rimarily on organizations, and analysis of security practices at the individual level can be considered inadequate. Also, in the case of individuals, there is no choice but to make them more susceptible to these risks, so research on security practices at the individual level can be needed above all else. Therefore, in this study, we set a model to explain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based on the Protection-Motivation Theory((PMT) and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security behavior. The model of the study uses five factors: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vulnerability, perceived response efficacy, perceived self-efficacy liver, and perceived response cost. As mediating factors, three factors were set,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information security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vulnerabilities were found to influence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intentions. Second, perceived response efficacy was found to influence subjective norms, information security attitudes and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Third, perceived response cost was also found to have an effect on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and subjective norms, information security attitudes, and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curity behavior in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ecurity prevention advisory message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information security threats and the effectiveness of alternativ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준우(Kim, Jun-Woo),전동진(Jeon, Dong-Jin). (2021).개인의 정보보안 행위에 대한 연구. 물류학회지, 31 (1), 97-110

MLA

김준우(Kim, Jun-Woo),전동진(Jeon, Dong-Jin). "개인의 정보보안 행위에 대한 연구." 물류학회지, 31.1(2021): 97-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