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보공유를 위한 응답신속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39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 of Response Rapidity for Information Sharing on Performance; An Empirical Analysis in University Environment
발행기관
한국물류학회
저자명
류춘호(Ryu, Choon-Ho)임승준(Yim, Seung-Jun)
간행물 정보
『물류학회지』제31권 제1호, 111~121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무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급사슬 내 개체들의 정보공유를 위한 의사소통의 민첩성, 즉 응답신속성이 공급사슬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대학교 환경에서 이를 실증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교육 서비스(상품)의 공급자(교수)와 구매자(학생) 사이의 응답신속성은 설명변수로서 공급사슬 내 개체 간 의사소통의 민첩성과 관련한 요인으로 고려될 수 있고, 학업 성과는 종속변수로서 공급사슬 성과와 관련한 변수로 간주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선 교수의 수업과제 공시 시점과 수강생의 과제 제출 시점의 차이를 응답신속성으로 정의하였다. 수업과제의 응답신속성이 학업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전공필수과목과 전공선택과목의 수강생 간 응답신속성이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성적과 연관이 있는 수업과제와 성적과 연관이 없는 수업과제의 응답신속성이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를 검증한다. 분석 결과 성적과 연관이 있는 수업과제의 응답신속성과 성적과 무관한 수업과제의 응답신속성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선택과목은 성적과 연관이 있거나 성적과 무관한 수업과제의 응답신속성이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전공필수과목은 성적과 연관이 있거나 성적과 무관한 수업과제의 응답신속성이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하였다. 자발적인 목적이 강한 수업과목(전공선택과목)에서 수업과제의 응답신속성은 이것이 성적과 연관이 있든 없든 학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반면, 자발적인 목적이 약한 수업과목(전공필수과목)에서 수업과제의 응답신속성은 이것이 성적과 연관이 있든 없든 학업 성과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의 의사결정자에게 공급사슬 내 개체들의 정보공유를 위한 의사소통의 민첩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response rapidity on communication for information sharing among individuals in the supply chain on the supply chain performance in a university environment.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professor’s class assignment disclosure time and the student’s assignment submission time is defined as response rapidit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is defined as grades(credits). We verified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response rapidity on grades between subjects and elective major courses and whether the effects of response rapidity of class assignments related to grades and class assignments not related to grades have different effects on grades. In class subjects with a strong voluntary purpose(elective major courses), the response rapidity of class assignments did not affect academic achievement, whether or not related to grades. On the other hand, in class subjects with a weak voluntary purpose(required major courses), the response rapidity of class assignments had an affect academic achievement, whether or not related to grade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decision makers on the impact of communication agility for information sharing among entities in the supply chain on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춘호(Ryu, Choon-Ho)임승준(Yim, Seung-Jun). (2021).정보공유를 위한 응답신속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31 (1), 111-121

MLA

류춘호(Ryu, Choon-Ho)임승준(Yim, Seung-Jun). "정보공유를 위한 응답신속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31.1(2021): 111-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