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동차화재 시 질식소화덮개 적용방안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용수 163
- 영문명
- Application of Car Fire Blankets to Car Fire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권진석(Jin-Suk Kwon) 김황진(Hwang-Jin Kim) 이수호(Soo-Ho Lee) 김수영(Su-Young Kim) 박태희(Tae-Hwe Park) 김태동(Tae-Dong Kim) 김수영(Soo-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5 No.1, 143~14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발생한 자동차 화재의 경우 일반도로(47.3%), 고속도로(17.2%)와 같이 도로 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자동차화재 신고가 접수된 후 소방대원이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도로의 교통상황에 따라 지연될 수 있고 펌프차가도착하기 전까지 화재진압을 할 수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화재 발생 시 주수를 하지 않고 자동차용 질식소화덮개를 활용한 질식효과로 자동차화재 소화에 대한 실험을 통해 적용방안 및 활용방법을 도출하였다. 동일한 차종에 착화를 하여 최성기에 질식소화덮개를 10 min, 20 min, 30 min 적용하여 질식에 의한 소화가 가능한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10 min 이상 적용한 3번의 실험에서 부분적 재발화는 있었지만 간단한 잔화정리로 완전 진화가 가능하였다. 본 실험결과를 통해 질식소화덮개의 소화 가능성과 현장활용 방안을 통해 신기술의 자동차화재 대응기술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car fires have been occurring on city roads (47.3%) and expressways (17.2%). Depending on the trafficconditions on the road, the growth of these fires can be delayed until firemen or a pump car arrives at the scene. In thisstudy, application and utilization methods were derived based on car fire extinguishing experiments. To this end, asuffocation effect was induced using a car fire blanket and without using water in the event of a car fire. A car was ignited,and the car fire blanket was applied for 10, 20, and 30 min during the peak of the fire to verify whether the fire couldbe extinguished. A partial fire was caused for the three experiments, which could be put out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i.e., car fires can be put out using a car fire blanket and an on-site utilizationplan, a new technology is presented.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가솔린자동차 질식소화 실험
4. 실험결과
5.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기호흡기용 무선통신 시스템의 공간 특성에 따른 응답시간에 관한 연구
- 원전 담당 소방대들의 책임인식 비교
- UL 268 비화재보실험에 따른 화재감지기 및 실내 공기질 측정 인자의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 구획실 크기가 백드래프트 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산해석 연구
- UL 268 폴리우레탄폼 실화재실험을 통한 화재감지인자 도출에 관한 연구
- 원자력발전소용 안전등급 케이블의 경년열화에 따른 연소 및 연기특성 분석
- UL 268 목재 유염화재 및 훈소화재시험 시 발생되는 연소생성물을 통한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실험
- 효율적인 화재조사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방화문의 성능 관련 소송의 주요 쟁점에 관한 연구
- 자동차화재 시 질식소화덮개 적용방안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실내공기질 가스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유효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유도등 픽토그램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동영상 자가 학습 후 음악과 메트로놈 실습 간의 성인 마네킹 가슴압박 비교
- 폐침착부하지수(LDLIn)를 이용한 플라스틱 종류별 연기입자의 폐 침착부하 정량화
- 네트워크 배관망 해석 기법을 활용한 유체 거동 모델링 최적설계
- 농연에 의한 드론 수신 전파 감쇠에 관한 연구
- 적외선불꽃감지기 치환감시시험의 타당성 분석
- Fire Dynamics Simulator를 이용한 미분무의 분사 특성이 복사열 감쇠에 미치는 영향 검토
- 스프링클러설비의 일상적 유지관리 제도 개선방안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서 누출로 인한 질식사고 원인분석
- 탄화패턴 및 유증기 분석에 의한 카펫화재의 조사기법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9권 제1호 목차
- A* 알고리즘 기반의 F_A* 알고리즘을 활용한 화재 시 대피 경로 탐색 연구
- RSSI와 삼변측량법을 이용한 화학구조대 훈련자의 위치정보 측정 실험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