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탄화패턴 및 유증기 분석에 의한 카펫화재의 조사기법에 관한 연구
이용수 20
- 영문명
- Investigation Method for Carpet Fires by Analyzing Carbonation Patterns and Oil Vapor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박은주(Eun-Ju Park) 최충석(Chung-Seog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5 No.1, 156~161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탄화패턴 및 유증기 분석에 의한 카펫화재의 조사기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카펫의 연소는 층류와난류가 지배하였고, 바닥면은 달무리 패턴(Halo pattern)을 형성되었다. 인화성 액체(flammable liquid)가 뿌려진 바닥재의 연소 패턴은 중심부가 탄화되는 도넛모양(Doughnut-shaped) 및 원형 패턴(Circular pattern)이 형성되었다. 실체현미경에 의한 표면 분석에서 카펫의 방염 처리 유무와 관계없이 경계면은 용융과 재결합이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소가 완료된 후에 가스검지관(Gas detector tube)을 이용한 유증기의 포집 분석에서 일반카펫은 검지관의 눈금1~2개 정도가 짙은 녹색으로 변색되었고, 일반카펫과 휘발유의 연소는 검지관의 눈금 2~3개 정도가 반응하였다. 그리고 방염카펫은 검지관의 눈금 1~2개 정도가 짙은 녹색으로 변색되었으며, 방염카펫과 휘발유의 연소는 검지관의눈금 5~6개 정도가 변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GC & MS) 분석에서 연소 생성물의 차이는 명확하게 구별할 수는 없으나 반응 패턴의 세기는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We present a fire investigation method for carpets by analyzing the carbide pattern and oil vapor. The combustion ofcarpets is dominated by laminar and turbulent flow, and the combustion pattern on the floor surface is shaped like a halopattern. The combustion pattern on flooring material sprayed with an flammable liquid takes a donut-shaped and a circularpattern in which the core is burned. Surface analysis by substance microscopy showed that the boundary surface wasmelting and recombining,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carpet was treated with flame retardant. In the analysis of thecapture of oil vapor using a gas detector tube after combustion was completed, the general carpet was discolored to darkgreen with one to two divisions, and combustion of ordinary carpets and gasoline exhibited two to three divisions. It wasfound that one to two divisions of flameproof carpets were discolored to dark green, and combustion of flameproof carpetsand gasoline produces five to six divisions. The differences in combustion products could not be clearly distinguished using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GC & MS), but the strengths of their response patterns were found to bedifferent.
목차
1. 서 론
2. 실험 방법 및 조건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기호흡기용 무선통신 시스템의 공간 특성에 따른 응답시간에 관한 연구
- 원전 담당 소방대들의 책임인식 비교
- UL 268 비화재보실험에 따른 화재감지기 및 실내 공기질 측정 인자의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 구획실 크기가 백드래프트 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산해석 연구
- UL 268 폴리우레탄폼 실화재실험을 통한 화재감지인자 도출에 관한 연구
- 원자력발전소용 안전등급 케이블의 경년열화에 따른 연소 및 연기특성 분석
- UL 268 목재 유염화재 및 훈소화재시험 시 발생되는 연소생성물을 통한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실험
- 효율적인 화재조사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방화문의 성능 관련 소송의 주요 쟁점에 관한 연구
- 자동차화재 시 질식소화덮개 적용방안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실내공기질 가스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유효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유도등 픽토그램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동영상 자가 학습 후 음악과 메트로놈 실습 간의 성인 마네킹 가슴압박 비교
- 폐침착부하지수(LDLIn)를 이용한 플라스틱 종류별 연기입자의 폐 침착부하 정량화
- 네트워크 배관망 해석 기법을 활용한 유체 거동 모델링 최적설계
- 농연에 의한 드론 수신 전파 감쇠에 관한 연구
- 적외선불꽃감지기 치환감시시험의 타당성 분석
- Fire Dynamics Simulator를 이용한 미분무의 분사 특성이 복사열 감쇠에 미치는 영향 검토
- 스프링클러설비의 일상적 유지관리 제도 개선방안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서 누출로 인한 질식사고 원인분석
- 탄화패턴 및 유증기 분석에 의한 카펫화재의 조사기법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9권 제1호 목차
- A* 알고리즘 기반의 F_A* 알고리즘을 활용한 화재 시 대피 경로 탐색 연구
- RSSI와 삼변측량법을 이용한 화학구조대 훈련자의 위치정보 측정 실험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