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러시아의 차(茶) 역사에 대한 소고

이용수 164

영문명
A Study on the History of Tea in Russia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김용환(Yong Hwan Kim)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발칸연구 제45권 1호, 25~5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통계에 따르면 2015년 러시아의 차 수입량은 약 180만 톤으로 세계 1위, 2016년 1인당 차 소비량은 1.39㎏으로 터키, 아일랜드, 영국에 이어 세계 4위를 차지했다. 보드카의 나라로 알려진 러시아가 차 음용량에서도 세계 상위 순위에 있다는 사실은 조금 의외일 수 있지만, 이와 같은 통계 수치를 통해서도 차가 러시아의 일상음료로 자리 잡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차가 현대 러시아인들의 삶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가 어떠한 배경과 과정 속에 러시아로 유입되고 확산되었는가에 대한 문제는 국내 학계에서 여전히 명확하게 규명되고 있지 않다. 이 글은 국내의 기존 연구들과 러시아의 사료들을 대조하며 이 질문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차가 러시아에 처음 출현한 시기는 프로조롭스키(Д.И. Прозоровский)의 기록에 근거해 1638년으로 보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러시아에 유입된 신문물로서의 차는 다른 유럽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약재로서 인식되었으나 17세기 후반을 지나며 점차 기호음료로서 소비되기 시작했다. 차에 대한 러시아 국내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중국으로부터의 차 수입이 본격화되었다. 19세기 후반까지 중국으로부터의 차 수입에는 이른바 ‘티로드(Tea Road)’라고 불리는 육로가 이용되었다. 1689년 네르친스크조약, 1727년 부레야조약과 캬흐타조약을 통해 러시아와 중국 간 국경이 확정되고, 통상 관계 발전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었다. 특히, 러시아와 중국 간의 차 무역은 국경도시 캬흐타를 통해 발전해 나갔다. 19세기 후반 해상 항로의 개척과 1903년 시베리아 횡단 철도가 완공되면서 티로드를 통한 카라반 무역은 중단되었다. 한편, 러시아의 차 소비 증가와 과도한 차 수입 비용은 러시아 국내에서의 차 생산을 촉진했다. 러시아에서의 차 재배와 가공은 1896년 그루지야를 시작으로 아제르바이잔과 크라스노다르 지방에서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교통인프라의 발달, 차 생산량과 유통량의 증가 덕분에 차 가격은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이러한 물리적 환경의 변화와 정부 정책으로 인해 19세기 후반 러시아의 모든 계층이 차를 향유할 수 있게 되었고, 20세기로 들어서며 차는 러시아인들의 삶에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statistics, Russia was the world’s No. 1 importer of tea in 2015 with about 1.8 million tons, and in 2016, Russia’s per capita tea consumption was 1.39 kilograms, ranking it fourth in the world after Turkey, Ireland, and Britain. It may be a little surprising that Russia, known as the country of vodka, also ranked at the top of the world s tea consumption, but statistics show that tea is becoming Russia s everyday drink. Even though tea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lives of modern Russians, the history and the question of how the process of tea-drinking entered and spread throughout out Russian society is still unclear. This article examines this question by comparing existing domestic studies with historical materials of Russia. Based on Prozorovsky’s research, it would be appropriate to say that tea first appeared in Russia around 1638. At the time, tea was a new product of civilization introduced into Russia, like other European countries, as a medicinal product, but gradually began to be consumed as a healthy beverage by the late 17th century. As Russian demand for tea increased, imports of tea from China began in earnest. Until the late 19th century, a land route called ‘Tea Road’ was used to import tea from China. The Nerchinsk Treaty of 1689, the Treaty of Bureya and Kyakhta of 1727, established the border between Russia and China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rade relations. In particular, the tea trade between Russia and China developed through the border city of Kyakhta. With the development of sea routes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completion of the Trans-Siberian Railway in 1903, the trade of Caravan via the Tea Road ended. Meanwhile, increased consumption of tea in Russia continued and the excessive costs of importing tea prompted attempts to produce tea within Russian territory. Tea cultivation in Russia was successful in Azerbaijan and Krasnodar, starting with Georgia in 1896. As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developed and the supply of tea increased, the price of tea in Russia continued to fall. By the 20th century with these changes in physical environments, all classes were able to enjoy tea and tea became an essential part of everyday life in Russia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러시아에서 차의 출현과 확산
3. 차의 대중화
4.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용환(Yong Hwan Kim). (2021).러시아의 차(茶) 역사에 대한 소고. 동유럽발칸연구, 45 (1), 25-52

MLA

김용환(Yong Hwan Kim). "러시아의 차(茶) 역사에 대한 소고." 동유럽발칸연구, 45.1(2021): 25-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