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공무직원의 직무태도 유형화와 직무태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이용수 421

영문명
Job Attitude Profiles among Public School Paraprofessionals in South Korea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저자명
박선희(Sun-Hee Park) 전주성(JuSung Jun)
간행물 정보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5권 제4호, 109~14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공무직원의 직무태도가 어떻게 유형화되는지를 규명하고, 직무태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육공무직원 중 교육실무사(교무실무사, 과학실무사, 전산실무사)와 교무행정지원사이다. 최종 데이터는 비례층화표집을 통해 수집된 691개의 자료이다. 이 연구는 Mplus 8.1 프로그램을이용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교육공무직원의 직무태도 유형을 확인하였다. 또한,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분산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공무직원의 직무태도는 네 개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각 집단의 특징에 기초하여 이상적 몰입형(16.6%), 직무 만족형(41.8%), 인간관계 만족형(33.8%), 생활 수단형(7.8%)으로명명하였다. 둘째, 교육공무직원 직무태도 유형에 따라 긍정심리자본, 잡 크래프팅, 학교조직문화, 학교장의 진성리더십 하위변인들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이상적 몰입형, 직무 만족형, 인간관계 만족형, 생활 수단형 순으로 모든 변인들의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생활 수단형 집단을 기준으로 다른 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성별, 학력,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인인희망, 학교조직문화의 하위변인인 친화적 문화와 보존적 문화가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교육공무직원 인사관리 연구에 폭넓은 관점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교육공무직원들의 긍정적 직무태도 형성을 위한 실제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job attitude profiles of public school paraprofessionals and to investigate how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craft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authentic leadership,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through prior research, affected the paraprofessionals’ job attitud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orked at public elementary schools belonging to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Seoul, Korea. The final data of 691 samples were collected through 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ross-tabulation, one-way ANOVA,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latent profile analysis. There are three major findings. First, four job attitude types were identified: ideal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ivelihood.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crafting,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principal’s authentic leadership by job attitude type. The means for each variable were significant, with the highest means for the ideal job performance type, followed by those for job satisfac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ivelihood. Finally, paraprofessionals in the ideal job performance type and job satisfaction type groups were compared with those in the livelihood type group, while gender, education, hope, friendly culture, and conservative culture were common influential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ersonnel management of public school paraprofessionals and for improving their job attitud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Findings
Ⅴ.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선희(Sun-Hee Park),전주성(JuSung Jun). (2020).교육공무직원의 직무태도 유형화와 직무태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5 (4), 109-141

MLA

박선희(Sun-Hee Park),전주성(JuSung Jun). "교육공무직원의 직무태도 유형화와 직무태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5.4(2020): 109-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