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가족 갈등, 가족-일 갈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6

영문명
Gender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on Burnout: The Mediating Effects of a Maladaptive Coping Style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이혜상(Hye-Sang Lee) 이은희(Eunhee Lee)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107호, 167~19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일-가족 갈등, 가족-일 갈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대처양식의 남녀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부산, 경남 지역의 자녀가 있는 남녀 맞벌이 직장인 324명(남자 150명, 여자 174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가족 갈등은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적응적 대처양식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가족-일 갈등은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부적응적 대처양식에도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일 갈등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적응적 대처양식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성 직장인의 경우 가족-일 갈등은 소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부적응적 대처양식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성 직장인의 경우 가족-일 갈등이 소진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부적응적 대처양식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가족 갈등이 소진으로 미치는 영향이 남성보다 여성이 높았고, 부적응적 대처가 소진으로 미치는 영향에서도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맞벌이 직장인들의 부적응적 대처양식이 소진에 미치는 역할에서 남녀차이를 밝힘으로써, 일-가족 갈등, 가족-일 갈등을 겪는 남녀 직장인들의 소진을 낮추기 위한 성별에 맞춘 상담적 개입 방법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 of a maladaptive coping styple in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on emotional exhaustion. For this purpose, 324 male and female double-income workers (150 males and 174 females) with children in Busan and Gyeongnam were surveyed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work-family conflic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xhaustion, and no significant effect on maladaptive coping style. Secondly, family-work conflict not only had a positive effect on exhaustion, but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aladaptive coping style. Maladaptive coping style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by which family-work conflict affects exhaustion. Thirdly, in the case of male workers, family-work conflict was found to affect exhaustion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maladaptive coping style. Whereas in female workers, family-work conflict did not directly affect exhaustion, but only indirectly through maladaptive coping style. Finally,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exhaustion was found to b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and the effect of maladaptive coping on exhaustion was higher in women. This study confirmed the role of dual-income workers’ maladaptive coping style on exhaustion.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may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finding counseling interventions to reduce exhaustion of workers who have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상(Hye-Sang Lee),이은희(Eunhee Lee). (2020).일-가족 갈등, 가족-일 갈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 , 167-196

MLA

이혜상(Hye-Sang Lee),이은희(Eunhee Lee). "일-가족 갈등, 가족-일 갈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 .(2020): 167-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