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양오염에 대한 국가책임 문제의 한계와 개선방안

이용수 783

영문명
International Responsibility Problem and Improvement of Marine Pollution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저자명
최화식(Choi, Hwa-Sick) 최영진(Choi, Young-Jin)
간행물 정보
『법학논문집』法學論文集 第44輯 第3號, 201~2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0. 11. 20. 인천에서 개최된 국제해양포럼에서 리우 닝(Liu Ning) 북서태평양보전실천계획 기획관은 주변국가 간 해양오염원의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해양오염에 대한 사후적 관리의 일환으로 국제법학자들은 국가책임을 주장하면서 오염원인국에 책임을 귀속시키기 위한 논리 근거의 정합성을 확보하기 위해 결과책임, 무과실책임, 절대책임 등의 용어를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책임 문제는 해양오염 행위가 국가 스스로의 행위인가 혹은 사인에 의한 행위인가 보다는 당해 행위로 발생한 손해에 대하여는 원인국의 배상책임을 인정한다는 것을 기본 개념으로 하여야 한다. 이러한 책임을 인정하는 근본적 배경에는 손해를 입은 “선의의 피해자(innocent victim)”이 있다는 것, 그리고 행위 발생지국이 과실없는 피해자에게 야기된 결과를 책임지게 하는 것이 형평에 부합한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그러나 국가는 국경을 넘는 해양오염에 대한 국가책임의 어떠한 기준에도 동의하기를 선호하지 않는다. 해양의 특수성에 비추어 다수의 오염원으로 인한 복합적인 인과관계를 해결하는 문제는 당해 오염국가를 특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잠재적인 오염국가집단을 형성하고 기금조성을 하는 방법이 필수적이다. 잠재적인 오염국에 대해서는 우주 관련 조약에서의 절대책임제도를 도입하여 해양오염에 대한 무과실책임주의에 입각하여 국가책임을 귀속시키는 방법이 선호된다. 국제규범은 해양오염국에 대한 국가책임 적용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구체적인 기준을 설정하는 것을 회피하고 있다. 유해한 오염물질로 인한 인명피해의 다양한 원인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취약한 국제규범에도 책임이 있다. 예측가능한 피해를 상정하고 이에 대한 잠재적 오염자인 국가가 사전예방적 관점에서 해양오염물질을 다루어야 한다.

영문 초록

As part of the post-management of marine pollution, international jurists insist on state responsibility and give terms such as result liability, fruitless liability and absolute responsibility to ensure the convergence of logical grounds to attribute responsibility to the polluting countries. The basic concept of this responsibility shall be that the causative state acknowledges its liability for damages caused by the act, rather than whether the act of marine pollution is an act of the State itself or an act of death. The fundamental background for acknowledging this responsibility is that there is a innocent victim who has suffered a loss, and that it is in equity to make the place of action responsible for the consequences caused by the innocent victim. The state, however, does not prefer to agree to any standard of state responsibility for maritime pollution across borders. The problem of solving the complex causal relationship caused by a number of pollutants in light of the specificity of the oceans is difficult to specify the contaminated country in question, so it is essential to form a group of potential polluting countries and raise funds as a way to overcome it. For potential polluters, it is preferred to introduce an absolute responsibility system in space-related treaties to attribute state responsibility on the basis of fruitless accountability for marine pollution. International norms recognize the need to apply state responsibility to maritime polluting countries but avoid setting specific standards. Among the various causes of human casualties caused by harmful pollutants, the country is also responsible for relatively weak international norms. The country, which presupposes predictable damage and is a potential polluter to it, should deal with marine pollutants from a proactive perspective.

목차

Ⅰ. 서론
Ⅱ. 해양오염의 규제와 국가책임
Ⅲ. 해양오염에 대한 국가책임 이행의 한계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화식(Choi, Hwa-Sick),최영진(Choi, Young-Jin). (2020).해양오염에 대한 국가책임 문제의 한계와 개선방안. 법학논문집, 44 (3), 201-223

MLA

최화식(Choi, Hwa-Sick),최영진(Choi, Young-Jin). "해양오염에 대한 국가책임 문제의 한계와 개선방안." 법학논문집, 44.3(2020): 201-2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