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방언 연구의 생태 언어학적 가치

이용수 242

영문명
The Ecolinguistic Importance of Studying Jeju Dialect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강정희(Jeong Hui Kang)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36권, 53~8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2010년 12월 유네스코가 제주방언이 세계 언어들 가운데 소멸 위기에 놓인 소수 언어들 중에서 아주 심각한 위기에 처한 언어 로 지정, 등록된 현실에서 제주방언 공동체 구성원들이 이 언어를 어떻게 보전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다. 논의의 핵심은 방언을 왜 연구해야만 하고, 보전해야 하는가에 대한 당위성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제주방언 공동체 구성원들의 제주방언에 대한 의식의 전환이 있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언어는 문화의 가장 기본적인 상징체이다. 문화는 혈연체로 이루어진 동일 언어 집단의 역사적으로 관습화된 습관들의 집합이다. 이 문화 중 구술로 전승되는 전통문화의 기본 수단은 해당 지역의 언어이다. 지역 언어의 소멸은 곧 문화의 소멸로 이어지며, 제주방언과 제주 전통문화의 소멸은 곧 제주방언 화차들의 정신세계의 소멸을 의미한다. 방언의 소멸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방언화자들이 자신이 쓰는 말을 후손에게 대물림하지 않는 것이다. 그것은 방언은 표준어에 비하여 열등한 언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생태학은 이와 같은 존재 간의 불평등의식을 배격한다. 생태학의 기본개념은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체는 생명의 평등권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자연과 생물체들을 서로 분리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순환체계로서 상호작용 관계로 존재한다고 본다. 그러므로 모든 생물체들은 존재의 관계망 으로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한 개체에 문제가 생기면 그 생태계는 불안정하게 된다는 것이다. 생태학의 이러한 기본 개념이 곧 생태의식 이다. 1970년대에 출발한 생태(주의) 언어학은 바로 이러한 생태의식을 언어학에 적용한 신생학문이다. 생태언어학은 언어를 생물체로 인식한다. 언어와 인간, 자연을 분리해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망으로 인식한다. 생물 생태계에서 일어나는 개체군의 감소, 멸종, 경쟁 등과 같은 현상이 언어 생태계 안에서도 일어난다고 본다. 소수 힘없는 지역 언어의 소멸도 이에 적용된다. 힘 있는 외래종이 방언 생태계로 들어오면 외래종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기간을 가지게 된다. 이 시기에 두 언어의 접촉으로 인한 토종, 변종, 외래종이 공존하게 된다. 이 적응 시기가 지나면 지역 방언 생태계의 변화가 완성된다. 주로 외래종의 승리로 끝난다. 지역방언 생태지위는 축소되고 점차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제주방언이 아주 심각한 위기에 처한 언어 단계로 온 데에는 제주방언 공동체 구성원 들에게 큰 책임이 있다. 앞으로 이 방언을 연구하고. 보전하기 위해서는 제주방언 공동체 구성원들은 윤리적 책임감을 가지고 모든 언어들은 평등하다는 생태의식으로 의식의 전환을 해야 한다. 방언 보전 방법은 민-관-학 제간의 긴밀한 협조체제를 갖추어서 조사, 연구, 발전 계획수립, 방언 교육 등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o preserve the endangered Jeju dialect, and to examine the ecolinguistic importance of studying Jeju dialect. Old forms of Jeju dialect are speedly decreasing recently. Jeju dialect was eamarked for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 by UNESCO in Sept. 2010. What Jeju Governmennt and people need have a mind to preserve the endangered Jeju dialect from now. It is necessary for Jeju Government and people to provide various policies and programs. Firstly, Jeju Governmant has to scout for fluent speakers of Jeju dialect and upbring them Secondly, Jeju Governmant must develop Jeju dialect education program both in school and family. Thirdly, the local mass media of communication has to be interested in Jeju dialect. Fourthly, It is necessary to support financially and academically dialectologists who study Jeju dialec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정희(Jeong Hui Kang). (2011).제주방언 연구의 생태 언어학적 가치. 제주도연구, 36 , 53-83

MLA

강정희(Jeong Hui Kang). "제주방언 연구의 생태 언어학적 가치." 제주도연구, 36.(2011): 53-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