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요양보호사의 표면행위적 감정노동이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이용수 257

영문명
The Effect of Caregiver s Surface Acting Emotional Work on Occupational Identity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발행기관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저자명
문송애(Moon, Song-Ae) 조미숙(Cho, Mi-Sook) 김해성(Kim, Hae-Seong)
간행물 정보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37호, 27~5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표면행위적 감정노동과 직업정체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요양시설 및 복지관,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서울특별시, 경기도, 대전광역시 등에서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세부적인 자료수집 방법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설문지 총 550부를 배포하여 500부를 회수하였고 결측치가 있는 11부는 평균값을 구하여 그값을 결측값에 대체하여 넣은 후 사용하였다. 본 연구도구는 독립변수인 표면행위적 감정노동을 측정하기 위해 Hochschild(1983)가 제시한 표면행위, 내면행위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직업정체성의 측정도구는 Andrson과 Martin(1982)이 개발한 도구로 박종우(1994)가 번역하여 사회복지사의 직업정체성 측정에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이후 김규년(2015)이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 측정에 맞게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서 SPSS 2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표면행위적 감정노동이 낮을수록,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나 이가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직업정체성이 높은 관계에 있다고 나타났다. 또한 표면행위적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사회적지지는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들이 일터에서 노인들을 대할 때 느끼는 표면행위적 감정노동을 심층 분석하였으며 매개하는 요인을 찾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을 높일 수 있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giver s surface acting emotional work and occupational ident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ursing care workers working in nursing homes and welfare centers in Seoul, Gyeonggi-do, and Daejeon.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used as a data collection method for empirical analysis. A total of 5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500 copies were collected, and 11 copies with missing values were used by substituting the average value. In order to measure the surface acting emotional work that is an in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reconstructed the surface behavior and the internal behavior suggested by Hochschild(1983). The measure of occupational identity, a dependent variable, was developed by Anderson and Martin(1982) and translated by Jong-Woo Park(1994) and began to be used to measure social worker’s occupational identity. SPSS20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lower the surface acting emotional work, the higher social support, the younger the age and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higher the occupational identity. It was also found that the higher the surface acting emotional work, the lower the social support. In addition, some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occupational identity of the caregiv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송애(Moon, Song-Ae),조미숙(Cho, Mi-Sook),김해성(Kim, Hae-Seong). (2020).요양보호사의 표면행위적 감정노동이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37), 27-53

MLA

문송애(Moon, Song-Ae),조미숙(Cho, Mi-Sook),김해성(Kim, Hae-Seong). "요양보호사의 표면행위적 감정노동이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37(2020): 27-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