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모데미풀의 자생지별 외부형태 및 식생

이용수 2

영문명
External morphology and vegetation of Megaleranthis saniculifolia populations in four different habitats
발행기관
한국자원식물학회
저자명
유기억 이우철 오영주
간행물 정보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12권 제4호, 312~323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9.12.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모데미풀 자생지 4지역(광덕산, 태기산, 점봉산, 소백산)에 대한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외부형태, 주성분분석과 유집분석, 식생 및 토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외부형태형질 중 유의성이 있는 형질로는 주로 꽃에 관한 형질과 삭과에 대한 형 질, 즉 꽃받침의 길이와 폭, 꽃받침지수, 꽃받침 열편에 거치의 존재유무, 화경의 길이와 분지 유무 등은 4집단을 구분하는데 유의성이 있는 형질로 나타났다. 그러나 식물의 높이, 총포, 종자의 특징 등은 변이가 매우 심하여 형질로서 가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3가지의 양적 형질을 이용한 주성분분석 결과 주성분1(31.3%), 주성분2(20, 7%), 주성분 3(15.8%)이 총 67.79%의 기여율을 보였으며 주성분 1과 2를 이차원공간에 도시한 결과 태기산집단은 다른 세집단과 구별이 가능하였다. 평균연결방법과 Ward s법에 의한 유집분석 결과, 유집군들의 구성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집단간에는 서로 중복되어 나타나 구별이 불가능하였다. 식생조사 결과 상대피도와 상대빈도에 의한 중요치는 모데미풀이 50.8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눈개승마(12.64%), 현호색 (11.62%), 박새(11.45%), 홀아비바람꽃(8.96%), 벌깨덩굴(8.76%), 터리풀(7.06%), 진범(5.66%), 큰개별꽃(5.45%), 솜때(5.25%)의 순으로 나타나 이 종류들이 모데미 풀과 친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전지역에서 모데미풀이 가장 높았고 중요치가 높은 종류들은 자생지 별로 약간 차이를 보였다. 종다양성은 평균 1.40으로 나타났으며 광덕산(1.31)이 가장 높고 점봉산(1.17)이 가장 낮았다. 토양의 pH는 평균 5.25로 대부분 비슷하였고, 소백산은 Mg의 함량은 가장 낮았지만, E.C., 포장용수량, 유기물, 인산, Ca, K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E.C., 유기 물함량, Ca의 함량은 광덕산이 가장 낮았으며, 점봉산은 Mg의 함량이 가장 높은 반면 포장용수량, 인산, K의 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External morpholog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vegetation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taxonomic relationships and native environmental characters of Megaleranthis saniculifolia populations in four different habitats.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calyx length and width, calyx index, presence or absence of serrate in calyx lobe, length of peduncle, branch of peduncle and fruit characters were useful for the identification of four different habitats. But, characters of plant height, bract and seed in four habitats were similar. The results obtained based on the principal component(PC) analysis of treated 96 OTU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PC 1, 2, 3, and the sums of contributions for the total variance were 66.79%(PC1 31.3%, PC2 20.7%, PC3 15.8%, respectively), and only Mt. Taeki population was distinctly different from populations of other three habitats. In cluster analysis based on average linkage cluster analysis and Ward s method, there were similarities in the composition of clustered taxa, and each populations were not identified. Importance value by relative coverage and frequency appeared in M. saniculifolia(50.81%), Aruncus dioicus(12.64%), Corydalus turtschanovii(11.62%), Veratrum oxysepalum(11.45%), Anemone koraiensis(8.96%), Meehania urticifolia(8.76%), Filipendula palmata(7.06%), Aconitum pseudo-laeve(5.66%), Pseudostellaria palibiniana(5.45%) and Smilacina japonica(5.25%), respectively. These species were considered to be highly similar with M. saniculifolia. The highest importance value in all investigated sites was M. saniculifolia, but specific composition of high level different from each habitat. Average diversity of species was 1.40, and the highest in Mt. Kwangdeok(1.31), lowest in Mt. Jumbong(1.17). Average soil pH was 5.25 and similar in each habitat. Although the lowest content of K ion, but the highest the EC, water capacity, organic compound, Ca content were found in soil of Mt. Sobaek. Soils in Mt. Kwangdeok had the lowest content of EC, organic compound, Ca. Soils of Mt. Jumbong showed the highest of Mg content, but the lowest of water capacity, $P_2O_5$ 수식 이미지, and K conten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기억,이우철,오영주. (1999).모데미풀의 자생지별 외부형태 및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2 (4), 312-323

MLA

유기억,이우철,오영주. "모데미풀의 자생지별 외부형태 및 식생."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2.4(1999): 312-3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