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토기로 본 한반도 동·남해안 지역 신석기시대 조기 사회상

이용수 196

영문명
Social Situation of the Eastern and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Neolithic Period, as seen through Pottery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황철주(Hwang, Chul Joo)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27권,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유물의 출토 맥락을 통해서 문양의 상징적 의미를 검토하고, 그 과정에서 당시 사회상을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하였다. 한반도 신석기시대 조기 사회는 융기문, 압날문, 두립문, 부가두립문으로 특정할 수 있는 동삼동식토기, 오산리식토기, 죽변리식토기, 세죽식토기로 구분할 수 있다. 동삼동식 토기는 연중거주와 포경을 시작한 해양 수렵 채집민 집단의 표상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그들의 전통적인 관념은 새로운 상황에 맞춰 점차 변질(퇴화)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중 주칠 토기는 기존 관념에서크게 벗어나지 않은 일상적 차원에서의 의례 또는 그와 밀접하게 연관된 기물로 상정할 수 있다. 오산리식토기는 긴 총점유기간과 짧은 연간점유기간 전략을 구사하였으며, 기원전 5,500년과 4,800년 쯤 각각 해안 사구일대를 떠났던 집단의 표상으로 생각된다. 죽변리식토기는 남쪽 융기문 토기의 영향과 점유 방식의 변화에 따라 압날문에서 두립문(융기문)으로 급변한 집단의 표상이자 정체성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세죽식토기는 융기문 토기 집단의 하나였으나, 죽변리식토기 집단과의 교류를 통해 두립문이라는 관념을 공유, 지속적으로 사용한 집단의 표상으로 생각된다. 동해안 남부지역에 유행한 부가두립문은 이러한 우호적 교류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죽변리식토기 집단은 기존의 이동 전략에서 남쪽의 정주화 전략을 받아들이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전통이같았던 북쪽 집단과는 물질적 교류 관계로 변해버린 반면, 전통이 달랐던 남쪽 집단들과 특별한 관계를 맺음으로써 새로운 질서를 확립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두립문양이 발생하였다. 이후 두립문양은 공동체의 전통과관념을 상징하는 문양이 되었고, 생활 의례 속에서 조상에 대한 예우 또는 영역에 대한 표상이 되었다. 따라서두립문양은 동해안 지역 집단들의 정체성을 반영한다고 요약할 수 있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social situation of the time in which pottery artifacts were produced can be interpreted through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symbolic meaning of patterns on the pottery in the context of excavation. The pottery produced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Neolithic period can be divided based on their pattern types - which raiseddesign, press-pattern, bean-pattern and supplementary bean-pattern - into Dongsamdong, Osanri, Jukbyeonri and Sejuk styles. Dongsamdong-style pottery is the representative style used by the group who started to settle throughout the year and hunt whales, collecting and hunting marine life. Over time, their traditional notions seemed to gradually change to meet new situations. Of this pottery, the red-painted pottery can be presented as a daily formality not far off the traditional notions or an object closely related to it. Osanri-style pottery was produced by those who collected and hunted marine life with a strategy of having a long total occupation period and a short yearly occupation period, and is the representative style used by the group of ancestors who left the coastal sand dunes at around B.C. 5,500 and 4,800, respectively. Jukbyeonri-style pottery was rapidly transformed from press-pattern to bean-patterns (raised-design), being affected by the pottery of raised-design and by changes in the type of occupation in the southern region. It is the representative style used by the group of ancestors who collected and hunted marine life, and can be recognized as the symbol of the group chosen at a crossroads of tradition and change. Sejuk-style pottery seems to be the representative style used by those who collected and hunted marine life, as one of the groups who used raiseddesign, but exchanges with the group of those who used Jukbyeonri-style pottery seemed to allow the group to share and continue to use the concept of bean-patterns. The pottery of supplementary bean-pattern that were popular in the southern region along the eastern coast of Korea seems to be the result of such amicable exchanges. The group who used Jukbyeonri-style pottery started to embrace a strategy of settling in the southern region instead of its previous movement strategy, and in the process, it separated from its homogeneous groups in the northern region and started to have a special relationship with heterogeneous groups in the southern region, establishing a new order. In this context, beanpatterns emerged, which later became a symbol of the tradition and notions of the communities, as well as a symbol of the daily formality of honoring ancestors or the territory of the communities. Therefore,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bean-patterns reflect the identity of the communities along the eastern coast of Korea.

목차

Ⅰ. 머리말
Ⅱ. 신석기 조기 동남해안 토기의 검토와 출토맥락
Ⅲ. 두립문양의 상징성과 신석기시대 조기의 사회상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철주(Hwang, Chul Joo). (2020).토기로 본 한반도 동·남해안 지역 신석기시대 조기 사회상. 고고광장, 27 , 1-23

MLA

황철주(Hwang, Chul Joo). "토기로 본 한반도 동·남해안 지역 신석기시대 조기 사회상." 고고광장, 27.(2020):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