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50년대 ‘결혼허가신청서’를 통해 본 한인 여성과 미군의 결혼과 이주

이용수 87

영문명
A Study on the Marriage and Migration of Korean Women and U.S. Army Officer seen through Marriage Applications in the 1950s : America’s Immigration Control Policy and the ‘Secret’ Bonding of Others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金垠慶(KIM Eun-kyung)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91집, 139~16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1950년대 미군과 한인 여성의 결혼허가신청서와 그에 첨부된 문서를 통해 결혼당사자의 인적 정보와 미국의 국제결혼허가제도의 특징을 분석했다. 또 미국의 엄격한 통제정책에 맞선 한인 여성들과 그 이웃의 대응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미국 국제결혼허가제도의 절차는 매우 복잡하고 까다로웠다. 1950년대 미국에서는 인종 간 결혼금지정책을 시행하는 주가 많았고, 국가별 할당량을 정해 이민자의 유입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었다. 1947년 개정 전쟁신부법과 1950년 외국인 배우자 자녀법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군의 아시아인 배우자가 급증한 현실을 반영한 것이었다. 이에 미군과 결혼한 한인 여성이 적은 규모나마 미국에 입국하기 시작했고 1952년 이민국적법이 제정되면서부터 이주가 본격화되었다. 국제결혼여성은 미국 시민권자의 배우자로서 비할당 이민이 가능했다. 그러나 미국은 국제결혼허가제를 시행하여 까다로운 심사과정을 거쳐 결혼과 비자발급을 허용했다. 미국의 국제결혼허가제도는 인종주의에 기초한 이주통제정책이었지만, 한인 여성에게 결혼을 통해 경제적 안정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발휘하기도 했다. 이런 측면에서 ‘매력적인’ 요소를 가진 국제결혼은 여성들이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가 되었다. 1950년대 전쟁을 겪은 한인 여성에게 미군과의 결혼은 한국사회의 배제와 혐오를 벗어나는 길이자 생계를 위한 삶의 방편의 되었기에 많은 여성들은 국제결혼을 통해 미국으로 이주하려 했다. 이에 미국의 까다로운 기준을 통과하기 위해 주변 이웃과 ‘은밀히’ 연대했다. 이는 미국 이민 통제정책의 틈새를 파고든 여성들의 이주 전략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marring couples and the U.S. international marriage approval policy through the marriage application forms and attached documents of U.S. army officers and Korean women in the 1950s. After, it analyzed the responses of Korean women and surrounding people who were trying to help them against the U.S.’s strict immigration control policy. In the 1950s, America’s international marriage approval policy and procedure were very complicated and exacting. At that time, many states in America were banning international marriages and the U.S. government was strictly regulating the influx of immigrants by setting quotas on each country. However, the U.S. eventually had no choice but to accept foreign spouses of U.S. army officers whose number increased greatly due to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and the Korean War. With the revision of the ‘Alien Spouses and Children Act’ in 1950 and the ‘Immigration and Nationality Act’ in 1952, Korean women married to U.S. army officers could enter the U.S. However, this was not easy either, because women who had international marriage had to pass the U.S. marriage approval process to receive visas, which was very demanding. The U.S.’s marriage approval process was one of the immigration control policies strictly regulating criminal history, sexual trafficking, and communist political ideologies based on racial discrimination. Despite such rigorous control, marriage to U.S. soldiers became such an ‘attractive choice’ for Korean women who experienced war in the 1950s because it was the only way for survival and escaping from the exclusion and hatred of the Korean society. As a result, many Korean women desired to immigrate to America by marrying a U.S. soldier and ‘secretly’ bonded with their neighbors to pass the rigorous marriage approval criteria. This was the migration strategy of Korean women who seized a chance to the U.S. immigration control policy.

목차

1. 머리말
2. 미국의 이주통제정책과 국제결혼허가제도
3. 결혼 당사자의 인적 특징과 결혼 이주전략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垠慶(KIM Eun-kyung). (2019).1950년대 ‘결혼허가신청서’를 통해 본 한인 여성과 미군의 결혼과 이주. 한국근현대사연구, 91 , 139-168

MLA

金垠慶(KIM Eun-kyung). "1950년대 ‘결혼허가신청서’를 통해 본 한인 여성과 미군의 결혼과 이주." 한국근현대사연구, 91.(2019): 139-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