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적자본이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7

영문명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the degree of job creation motivation and intention
발행기관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저자명
임한규 이우진
간행물 정보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2권 제1호, 47~6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 사회는 인공지능 로봇 및 IT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여건의 변화로 인해 고등교육을 받은 전문직도 일자리가 사라지는 것에 위협을 받고 있다. 앞으로 우리는 우리가 해오고 있는 일을 로봇이 대신하고 있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미래모습에 대비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새로운 직업을 개발하고 이런 활동을 독려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개발하고 있다. 민간에서도 자신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직업을 스스로 만드는 창직 활동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창직 활동들은 기존 직업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직업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선행연구와 정부기관의 자료를 토대로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구성요소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시도하고 사회적 자본이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그에 따른 가설을 전제로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고자 창직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예비창직가 및 창직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조사는 2016년 4월1일부터 5월3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한 후 통계패키지(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사회적자본 중 규범, 신뢰, 네트워크는 창직동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참여는 창직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참여와 관련된 활동은 예비창직가 및 일반인에게 창직가들과의 교류나 활동이 창직 동기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창직동기는 창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창직동기와 창직의도는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Modern society is threatened as jobs disappear, even for highly educated professionals, due to changes in social conditions and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t robots and IT. In the future, it is predicted that robots will perform much of the work that is presently carried out by humans. To prepare for the future, is developing new types of employment and policies to encourage this development. In the private sector, the activity of job cre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based on own creative ideas. These movements contribute to job creation since new job types are being created instead of traditional jobs.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perform a theoretical study on the social capital concept and its element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data from government agenci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motives for and objectives of job creation.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ccordingly, a survey was conducted on job creators and potential job creators, who have interests in job creation, to collect data for empirical analysis of the hypothesis. The data collection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 to May 30, 2016. After verifying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The conclusions generated from analysi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Norms, trust, and networks in social capital did not affect the motivation for job creation. Conversely,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motivation for job creation.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increased motivation for job creation according to the actions or exchanges of the job creator with potential job creators and normal people. Moreover, the analysis shows that motivation affected the objective of job creation. It was determined that the motivation for job creation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objective of job cre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한규,이우진. (2018).사회적자본이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2 (1), 47-64

MLA

임한규,이우진. "사회적자본이 창직동기 및 창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2.1(2018): 47-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