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人組合의 존재 가능성에 관한 考察

이용수 22

영문명
The Study on the Possibility of One-man Association
발행기관
한국사법학회(구 한국비교사법학회)
저자명
한승수(Han, Seungsoo)
간행물 정보
『비교사법』比較私法 제27권 제4호, 71~118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 판례는 2인조합에서 1인이 탈퇴하는 경우 1인조합의 존재 가능성을 긍정한다. 그러나 그와 같은 접근이 적절한지에 관하여는 검토가 필요하다. 로마법상 조합은 조합원의 계약으로 성립하고 그 조합원의 의사에 따라 소멸되었다. 조합은 우리 민법에서도 전형계약의 하나로 규정되어 있다. 그런데 독일 민법 제정과정에서 게르마니스트의 영향으로 조합의 단체성이 강조되었고, 그 영향은 우리 민법에까지 미쳤다. 그러나 그러한 경향을 인정하더라도 1인조합을 긍정하는 것은 지나친 이론 구성이라고 생각된다. 조합의 단체성에는 한계가 있고 복수의 조합원으로 구성되는 조합의 본질에 반하기 때문이다. 조합관계가 종료된다고 하면서, 해산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구성은 다른 사유들과 비교하여 볼 때 상정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판례는 공익적 견지에서 조합의 잔존 사업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1인조합을 긍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현실적 필요성 때문에 법리적 한계를 벗어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당사자의 의사를 기초로 조합이 아닌 것을 조합으로 할 수도 없으므로, 당사자 의사해석을 1인조합의 기초로 삼기도 어려워 보인다. 조합의 잔존 사업을 유지시키고 싶다면 오히려 조합법의 규정 안에서, 조합의 해소를 인정하고, 구체적 사안을 고려하여 청산방법의 의사합의로서 사업을 존속시키는 등 다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보다 적절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거시적으로는 조합이 가지는 계약으로서의 성격을 간과하지 말고 되새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단체로서의 조합이 다른 단체들과 구별되는 근본적인 차이이고, 또 조합의 활용성을 높이는 길이 아닌가 생각한다.

영문 초록

Our precedents affirm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a one-man association if one withdraws from the two-men association. As discussed in this paper, such an approach is not appropriate. The association was originally formed from Roman law by a member s contract(societas) and was extinguished according to the will of the member. It is defined as one of the typical contracts in our civil law. However, due to the influence of Germanists in the process of enacting the German Civil Code, the nature of organization was emphasized, and its influence even reached the Korean Civil Code. Even acknowledging such a tendency, it is an excessive theoretical construct to affirm a one-man association. This is because there is a limit to organizational nature of the association and it goes against the nature of the association which consists of multiple members. The concept that the association relationship ends, but no dissolution, is difficult to presuppose compared to other grounds of dissolution. The precedents can be seen positive to maintain the association s residual business from the view on the public interest, but it is believed that it cannot escape legal limitations due to its practical needs. It is difficult to base the interpretation of the parties opinions on a one-man association, as the parties are unable to make a non-association an association. If the court wants to make the maintain remaining business, I think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seek other measures, such as recognizing the resolution of the association within the provisions of the association law and keeping the business alive as a consensus on liquidation methods. On the macroscopic scale, I think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association s character as a contract. I think that s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a association and others as a organization and a way to enhance its usability.

목차

Ⅰ. 序說
Ⅱ. l인조합 조직의 불가능성
Ⅲ. l인조합의 후발적 존재 가능성에 관한 논의
Ⅳ. l인조합 긍정론에 관한 비판적 검토
Ⅴ.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승수(Han, Seungsoo). (2020).1人組合의 존재 가능성에 관한 考察. 비교사법, 27 (4), 71-118

MLA

한승수(Han, Seungsoo). "1人組合의 존재 가능성에 관한 考察." 비교사법, 27.4(2020): 71-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