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저성과자의 성과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8

영문명
Should the Low Performer Leave the Organization? : The Role of Job Crating
발행기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저자명
김장현(Kim, Jang Hyun) 차윤석(Cha, Yun Suk)
간행물 정보
『인적자원관리연구』제27권 제4호, 23~4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관심이 증대가 되고 있는 조직내 저성과자를 활성화 하기 위한 방안으로 조직내 진급 경과자의 성과인식, 잡 크래프팅 및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성과인식과 직무만족 간에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군 조직에서 대령을 진급하지 않은 진급 경과자이며 132부의 설문을 사용하였다. 연구방법 및 절차는 SPSS 19.0과 AMOS 22.0을 사용하였고,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인구통계 및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모형인 성과인식, 잡 크래프팅 및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둘째, 진급 경과자의 성과인식은 직무만족에 정(+)적 영향을 끼쳤으며, 세째, 진급경과자의 성과인식과 직무만족 간에 잡 크래프팅은 부부매개효과 있음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 연구의 연구모형은 진급 경과자의 성과인식, 잡 크래프팅 및 직무만족과 관련된 현상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는데 적합하도록 설정되었다. 둘째, 진급경과자의 성과인식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끼침으로 해당조직에서는 조직 및 집단 차원에서 진급 경과자가 본인의 성과인식을 높일수 있고 또한 상사 및 동료들이 진급 경과자에게 성과인식을 높을 수 있는 지원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 셋째, 진급 경과자의 잡 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정(+) 영향을 미치며 성과인식과 직무만족 간에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으로 해당조직의 조직 및 집단 차원에서 잡 크래프팅을 높일 수 있는 환경 등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제언으로 첫째, 진급 경과자의 대상을 확대하고(소령에서 중령 진급 경과자, 부사관의 진급 경과자 등) 또한 다른 부대 및 기관에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급 경과자의 잡 크래프팅 활동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변수 및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추가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recognition, job cre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progressives in the organization as a way to promote low-performing workers in the organization whose interest has recently increased, an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iveness of job crafting between performance recogni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ose who were not promoted to captain in the military organization and used part 132 of the survey.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used SPSS 19.0 and AMOS 22.0, and feasibility and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with demographics and technical statistic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irst confirmed that there was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recognition, job crea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secondly, performance recognition of progressive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hirdly, it was confirmed that job creation had a married couple s match effect between performance recognition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was set up to be suitable for comprehensively explaining phenomena related to performance recognition, job cre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progressives. Second, the recognition of performance by promotion progressives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he organization should study ways to improve the recognition of performance by promotion progressives at the organization and group level, and to improve support for senior and co-workers to raise their awareness of performance. Thir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job creation can be increased at the organization and group level of the organization concerned, as job cre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performance recognition and job satisfaction. At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promotion progressors (from lieutenant commander to commander, a petty officer like officer, etc.) and apply it to other units and agenc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lore the environmental and demographic variables that affect the job-crafting activities of the promoted transgresso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장현(Kim, Jang Hyun),차윤석(Cha, Yun Suk). (2020).저성과자의 성과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27 (4), 23-40

MLA

김장현(Kim, Jang Hyun),차윤석(Cha, Yun Suk). "저성과자의 성과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27.4(2020): 23-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