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을공동체 생활공간 활성화를 위한 자원봉사

이용수 620

영문명
Volunteering for Activating Life Space of Village Community: Focused on the case of ‘Flower blossoming village hall project’
발행기관
한국자원봉사학회
저자명
임미남(Lim, Mi nam) 이금룡(Lee, Geum-yong)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창간호, 5~2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남원시자원봉사센터에서 주관하고, 남원시 소재 민간자원봉사단체들의 참여로 실행된‘꽃피는 마을회관 사업’사례를 토대로 기획, 실행, 평가내용을 단계별로 소개한 현장논문이다. 본 사업의 목적은 첫째, 마을회관 노후시설의 개보수작업을 통해 이용어르신들의 이용만족도를 높이고, 둘째로, 참여봉사자들의 자기주도성을 견인함으로써 봉사활동의 만족도와 지역 공동체의식(지역소속감)을 강화하며, 셋째, 본 사업에 참여한 민관협의체 간의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사업은 봉사자들의 자기주도적 참여를 통해서 마을공동체의 중요한 매개공간인 마을회관의 노후시설을 개보수한 이후에 이용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정서 및 안전교육 프로그램(안녕 리액션 캠페인)을 실행하였다. 본 사업의 평가는 과정평가와 성과평가로 구분하였고, 봉사자와 마을회관 이용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사업 평가를 통해 나타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사업의 참여봉사자들의 자기주도성이 높은 수준(평균 4.6점/5점)을 보였으며, 이는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인의 의견이 반영되거나 본인의 능력에 맞는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봉사자들의 지역소속감 인식변화(평균 4.61점/5점)가 높게 나타남으로써 본 사업이 참여봉사자들의 지역공동체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마을회관 이용어르신들의 경우 자원봉사센터에 대한 신뢰감, 젊은 봉사자들에 대한 고마움을 통한 세대 간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넷째, 민간자원봉사단체 입장에서는 민관협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형성되었고, 본 사업을 주도한 자원봉사센터에 대한 신뢰감이 강화되었다. 사업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꽃피는 마을회관 사업의 실천적 함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roduces the process of plan, implication, and evaluation on the ‘Flower blossoming village hall’project which was organized by the Namwon city volunteer center and participated by various private volunteer organizations in Namwon city. The purposes of this project are as follows. First,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who use village hall through renovation of old facilities. Second, improving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volunteers through self-directed volunteering. Third, strengthening the partnerships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For this, this project was conducted by renovating old facilities of village hall, and serving various programs for emotional healing as well as safety education. The evaluation results of this project suggest som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is project effectively led volunteers self-directed, and it played significant role in improving satisfaction of volunteering. Second, the sense of village community among volunteers were highly improved through participating this project. Third, a bond and faith toward younger generation appeared to be increased for older adults using village hall. Forth, positive partnership has be built among private volunteer organizations on the basis of trust of Namwon city volunteer center. Finally, some practical implications on this project a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미남(Lim, Mi nam),이금룡(Lee, Geum-yong). (2020).마을공동체 생활공간 활성화를 위한 자원봉사.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1(창간호) , 5-26

MLA

임미남(Lim, Mi nam),이금룡(Lee, Geum-yong). "마을공동체 생활공간 활성화를 위한 자원봉사."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1(창간호).(2020): 5-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