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붕괴 저수지의 형태학적 특성 분석

이용수 52

영문명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apsed Reservoir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김동현(Kim, Donghyun) 김종성(Kim, Jongsung) 왕원준(Wang, Wonjoon) 이준석(Lee, Joonseok) 정재원(Jung, Jaewon) 김형수(Kim, Hung Soo)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0권5호, 207~216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17,313개의 저수지의 기본적인 제원을 분석하고, 특히, 붕괴 피해가 발생한 저수지의 형태학적 특성 및 저수량(S), 만수면적(A), 제당높이(H)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저수지의 11가지 제원 항목에 대하여 히스토그램을 작성하여 계급구간별 빈도에 대한 분포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깊이에 의해 저수지를 분류하기 위하여 형태지수(morphology index)를 이용하였으며, S-A-H와 S-A관계 분석을 토대로 각 관계의 계수값을 이용해 저수지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여기서, S-A-H의 계수값은 저수량과는 반비례하고, 계수값이 크면 저수량이 작다. S-A의 계수값은 저수량(S)과 비례하고, 계수값이 작으면 저수량이 작다. 주어진 저수지 제원의 항목들을 토대로 군집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군집 분석 결과, A부터 E까지 총 5개로 군집화 되었다. A군은 7,714개, B군은 6,053개, C군은 2,633개, D군은 745개, E군은 168개로 구분되었다. 형태지수는 A > B > C > D > E 순서로 낮았으며, S-A-H관계의 계수값은 A > B > C > E > D 순서로 높았다. S-A관계에 대한 계수값은 A > B > D > C > E 순서로 낮았다. 또한, 21개의 붕괴된 저수지에 대해 군집된 결과를 보면, A(14) > B(4) > C(2) > D(1) > E(0) 순서로 군집 되었다. 저수지의 수심이 얕고 저수량이 작은 저수지의 경우 붕괴될 확률이 높게 내재 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붕괴가 주로 발생하는 저수지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저수지 관리, 운영 및 발생할 수 있는 재난의 사전 대비 등을 위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asic specifications or items of 17,313 reservoirs distributed throughout Korea and in particular,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rvoirs. In addition, the morphology index, the storage (S)-area of full water (A)-levee height (H) (S-A-H) relationship, and the storage(S)-area of full water (A) (S-A) relationship were determined for collapsed reservoirs. In this study, histograms for 11 parameters, such as storage capacity, area of full water, levee height, and basin area, were plotted, and the distributions of the reservoir parameters were examined. The morphology index was used to classify the reservoirs based on the depth, and the coefficient values of the relationships of S-A-H and S-A were used to compare S with both A and H or only A. The coefficient value of S-A-H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S, and when the coefficient value was high, the storage was small. The coefficient value of S-A was proportional to S, and when the coefficient value was small, the storage wassmall.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given item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all the reservoirs and only the collapsed reservoirs. From the cluster analysis results, the reservoir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 B, C, D, and E. There were 7,714 (14) in Group A, 6,053 (4) in B, 2,633 (2) in C, 745 (1) in D, and 168 (0) in E for all the reservoirs and collapsed reservoirs (with the values of the collapsed reservoirs in parenthesis). The morphological indexes werelow in the order of A > B > C > D > E, and the coefficient values of S-A-H were high in the order of A > B > C > E > D. The coefficient values of S-A were low in the order of A > B > D > C > E. Based on the clustered analysis results for 21 collapsed reservoirs, the reservoirs were clustered in the order of A (14) > B (4) > C (2) > D (1) > E (0). A reservoir with shallow water depth and small storage capacity has an inherent probability of collapsing.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ful for reservoir management and operation, as well as for the prevention of reservoir collapse.

목차

1. 서 론
2. 방법론
3. 자료 수집 및 저수지의 형태학적 특성 분석
4. 붕괴된 저수지의 군집 분석을 통한 형태지수 특성 분석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현(Kim, Donghyun),김종성(Kim, Jongsung),왕원준(Wang, Wonjoon),이준석(Lee, Joonseok),정재원(Jung, Jaewon),김형수(Kim, Hung Soo). (2020).붕괴 저수지의 형태학적 특성 분석.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0 (5), 207-216

MLA

김동현(Kim, Donghyun),김종성(Kim, Jongsung),왕원준(Wang, Wonjoon),이준석(Lee, Joonseok),정재원(Jung, Jaewon),김형수(Kim, Hung Soo). "붕괴 저수지의 형태학적 특성 분석."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0.5(2020): 207-2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