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中期 無文土器時代의 聚落 構造의 轉移

이용수 57

영문명
Characterizing Middle Mumun Pottery Period settlements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安在皓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29호, 1~42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1.12.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無文土器時代 中期의 聚落은 住居址 규모의 小型化와 형태의 規格化로 진전되어온 반면에,聚落 내에서 단 1동의 大型住居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특정개인 또는 특정집단의 출현을 시사하는 것이며, 논 경작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농경활동과 環豪 등의 출현을 통한 聚落 구조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이라 추측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구체화하고자, 嶺南地方의 제유적 중에서 시공간적으로 가까운 5개소의 유적을 재검토하여 聚落의 구조를 밝히고, 이를 단위聚落의 類型으로 삼았다. 聚落의 분석은 住居址의 평면형태와 면적을 통하여 小型 · 中型 · 大型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입지적 특성을 통하여 聚落의 각 類型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檢丹里1A型은 中 · 小型住居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中型住居는 聚落의 중심부에 입지한다.檢丹里IB型은 1동의 中型住居와 다수의 小型性居로 구성되며, 中型住居는 聚落의 주변부에입지한다. 檢丹里2A型은 儀禮를 주관하는 中型住居 1동이 聚落의 중심에, 주변 부에는 中 · 小型住居가 입지한다. 檢丹里2B型은 중심부의 中型住居 1동과 그 주변에 다수의 小型住居가 입지한다. 檢丹里3型은 大型住居 1동이 儀禮의 공간에 분리되고, 다수의 中 ·小型住居로 구성된다. 川上里型은 檢丹里1A型과 같으나, 복수의 씨족단위가 기초를 이룬다 培養型은 檢丹里2A型과 유사한데, 구심제가 1단위의 世帶共同體로 이루어진 것이다. 類型은 檢丹里1A型 →2A型 →3型으로, 복수의 中型住居 →1동의 大型住居가 주변 부에서 중심부로 또는 儀禮적 독립 공간으로 분리되는 과정으로의 방향성을 가진다. 이것은 儀禮를 주관한 大型住居에 따른 계층화의 진전이며, 또한 사회적 규제의 강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環豪와 溝는 방어적 기능 외에도 특정집단 또는 聚落의 경계로서 설치되고, 環豪는 中期에 출현한다. 中期의 이러한 양상은 後期가 되면서, 墓域과 분리된 별도의 儀禮공간이 조영되고, 1동의 大型住居는 별도의 공간에 입지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의 聚落공동체 장은 儀禮權 이외의 그 권한이 경제, 정치적 부분에까지 확대 신장된 것이라 추측된다.

영문 초록

In some respects the standard size of pit-house structures in Middle Mumun Pottery Period settlements is small, but a characteristic of such settlements is the presence of one large-size structure. This kind of pit-house hints at some individual or corporate specification. It is thought that the organization of such settlements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dvent of a new kind of agriculture --wet-field cultivation, as well as the appearance of ditch features. In this paper I attempt to characterize the developments in the Middle Mumun Period that are briefly touched on above. 1 investigate five settlement sites in the Yeongnam region that are close in chronology and in the same general area. I demonstrate the organization of these settlements and create several type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ouse plan-shape and area in square metres, I divide the structures in settlements into small, medium, and large-size houses. Also, through locational analysis of settlements, 1 create the following village types described below. Geomdan-ni 1-A type settlements have small and large structures, plus one to three large structures in the central part of the settlement. Geomdan-ni 1-B type settlements are composed of one medium and many small-size structures. The medium-size structure is located on the edge of the settlement. Geomdan-ni 2-A type settlements consist of one medium-size central structure for ceremonial purposes which is surrounded by medium and small-size structures. Geomdan-ni 2-B type settlements have a central medium size structure surrounded by many small-size structures. In Geomdan-ni 3 type settlements, one large-size structure becomes segregated for ceremonial purposes. There are also many small and medium-size structures. The Cheonsang-ni settlement site, based on one to three family · clan units, corresponds to the Geomdan-ni 1-A type. The Baeyang settlement site is similar to the Geomdan-ni 2-A type, whereas the centre is formed of a corporate-generational structure.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formation of settlements is seen through the evolution from Geomdan-ni type 1-A through 2-A, and finally to type 3. Another part of this process is the change observed in the presence of one to three medium-size structures on the edge of the settlement, to the presence of a single large-size structure for ceremonial purposes in the centre of the settlement. The development of large-size ceremonial structures may be followed by social ranking or some intensification of societal regulation or control. Ditch features also appear during the Middle Mumun Period. These features, as well as having a defensive function, are also used for specified social groups in a settlement, or for the marking the boundary of a settlement. As the Late Mumun Period begins, separate burial zones and ceremonial areas are built. Large structures are also located in separate spaces. The elites of this period not only managed village ceremonial life, but also expanded their power into the economic and political spheres.

목차

Ⅰ.머리말
Ⅱ.遺蹟의 檢討
Ⅲ.聚落의 類型
Ⅳ.聚落의 變遷과 環豪의 기능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安在皓. (2001).中期 無文土器時代의 聚落 構造의 轉移. 영남고고학, (29), 1-42

MLA

安在皓. "中期 無文土器時代의 聚落 構造의 轉移." 영남고고학, .29(2001): 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