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곡 편(編)계통 악곡의 ‘각(刻)’선율 연구

이용수 131

영문명
A Study of Gak (刻) Melodies in Pyeon (編) Variations of Gagok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김화복(Kim Hwa-bok)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1집, 71~10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곡 중 ‘편’계통 악곡의 ‘각’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각’ 선율이 기보된 금보를 중심으로 그 양상을 살핀 후 ‘편’계통 악곡별 ‘각’ 선율의 특징을 찾아보고, 이를 통해 조선 후기 풍류방 음악인 가곡 선율의 다양화 및 고착 과정을 살펴보았다. ‘편’계통 악곡의 ‘각’ 선율은 처음 19세기 전반 『삼죽금보』에서 볼 수 있다. 이후 『금보(소창본)』ㆍ『우헌금보』ㆍ『현금오음통론』ㆍ『학포금보』ㆍ『방산한씨금보』 등에서 볼 수 있으며, ‘각’ 선율을 몇 개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①어느 사설에서라도 늘어난 가사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각 선율’과 ②악곡에 사설이 명시되어 그 사설의 늘어난 가사에 사용되는 ‘각’ 선율을 볼 수 있다. 또한 ③어느 사설에서라도 늘어난 가사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각 선율’ 중에 정해진 사설의 가사에 대한 ‘각’ 선율이 포함된 것, ④악곡에 사설이 명시되어 그 사설의 늘어난 가사에 사용되는 ‘각’ 선율 안에 활용할 수 있는 ‘각 선율’이 포함된 것 등 4개의 유형을 볼 수 있다. 대부분 금보에서 ①과 ②유형을 볼 수 있고, ③유형은 『삼죽금보』에서 ④유형은 『학포금보』와 『방산한씨금보』에서 볼 수 있다. <편락>은 ②유형의 분포도가 가장 많고, 현행 <편락> 6개의 사설 중 ‘목붉은’만 금보에서 볼 수 없다. 『현금오음통론』의 ‘나무도’는 두 종류가 기보되어 있는데, 하나는 현행과 ‘각’ 수가 같고, 다른 하나인 ‘수성조’의 ‘나무도’는 사설의 내용을 편집하고 축소하여 ‘각’ 수를 줄여 연주한 것으로 보인다. 『현금오음통론』 ‘수성조’의 ‘홀아’<편락>ㆍ‘솔아’<편락>과 『방산한씨금보』의 ‘솔아’<편락> 3장은 현행보다 1각 모자라고, 붙임새와 반각의 위치가 각각 다르다. 이는 현행보다 1각 정도의 가사가 없는 『청구영언』의 ‘솔아레’ 사설을 사용했을 것으로 보이고, 반각의 위치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언편>은 ②유형이 가장 많고, 『현금오음통론』ㆍ『학포금보』ㆍ『방산한씨금보』 등에 기보되어 있으며, 현행 3개의 사설이 모두 기보되어 있다. 이 중 『현금오음통론』 ‘한송정’ 3장의 ‘각’ 수는 현행보다 3개 부족하여 사설의 내용을 편집하고 축소하여 연주한 것으로 보인다. 『방산한씨금보』 ‘한송정’의 3장 ‘각’ 수는 현행보다 1개 부족하고, 3장 제4째 ‘각’의 가사 붙임새와 반각 위치가 현행과 다르다. 따라서 ‘솔아래’<편락>의 예처럼 이 시기에는 반각의 위치 변화와 붙임새를 어느 정도 자유롭게 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편삭대엽>에서 ①유형은 ‘편’계통의 ‘각’ 선율이 보이는 모든 금보에서 볼 수 있는데, ‘편’의 ‘각 선율’은 삼죽금보 에서 『방산한씨금보』까지 시대가 지나올수록 단순화된 듯하다. ②유형은 『현금오음통론』과 『학포금보』에서 볼 수 있고, 이 중 『현금오음통론』의 ‘진국명산’ 3장의 ‘각’ 수가 현행보다 부족하다. 따라서 『현금오음통론』의 ‘진국명산’<편>도 사설의 내용을 편집하고 축소하여 ‘각’ 수를 줄여 연주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언편>의 악곡명이 보이기 이전 금보의 <편삭대엽>에서 현행 <언편>에 해당하는 선율을 볼 수 있다. 삼죽금보 <편삭대엽> 7괘 선율과 『금보(소창본)』의 현행 <편삭대엽>에 해당하는 악곡 우측에 ‘7괘 부록선율’ㆍ『우헌금보』<편> 상단에 ‘강릉여기’ 7괘 선율이 서로 매우 유사하고, 이는 현행 ‘한송정’ <언편>과 유사하다. 따라서 세 금보의 선율은 <언편>의 전신으로, ‘한송정’은 <편삭대엽>에서 불리다가 19세기 후반 <언편>이 파생되면서 하나의 악곡으로 자리 잡고 <언편>의 사설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편’계통 악곡의 변통성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에 주로 분포되어 있고, 빠른 템포의 ‘편’계통 악곡이 많이 불러졌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가 요구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각’ 선율을 다양한 방법으로 변화시켜 가곡을 노래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 선율이 새로운 악곡으로 발전할 수도 있는 하나의 역할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examined how gak (刻 melodic line) is manifested in melodies of pyeon (編) variations of gagok (classical lyrical songs) by looking at geomungo (six stringed plucked zither) scores and has come to understand how variations of gagok, a genre of pungnyubang music of the late Joseon period, were developed and established. Gak melodies in a pyeon are found in Samjukgeumbo, Geumbo (from the Ogura 小倉 collection), Uheon-geumbo, Hyeongeum Oeumtongnon. Melodies within those scores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1) Those that can be applied to any text whatever words are added to the text 2) Those that are applied only to words added to particular lyrics specified in the song 3) some of those in 1) that include gak melodies assigned to specific lyrics 4) gak melodies within those of 2). In some cases, the number of gak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 score, and respective songs, are older or written according to current practices. For example, in the song Pyeollak, Type 2) is the most common. In Hyeongeum Oeumtongnon, Namudo is notated in two ways: first, with the same number of gak as the current version, but in Suseongjo, it is curtailed to a fewer number of gak. Horarae Pyeollak, Sorarae Pyeollak in Suseongjo and the third section of Sorarae Pyeollak in Bangsan Hanssigeumbo lack one gak compared to the current practice. This is probably because the three versions adopted their text from the version in Cheongguyeongeon, which has one less gak than the current versions, and the three old versions a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position of half gak. Type 2) is also the most common type for Eonpyeon as well, as seen in Hyeongeum Oeumtongnon, Hakpogeumbo, and Bangsan Hanssigeumbo, which contain all the three current lyrics. In Hyeongeum Oeumtongnon, however, the third section seems to have been edited out and curtailed as it has three less gak than the current versions. We can thus infer that half gak and words could be placed fairly freely in this era as in the example of Sorarae Pyeollak. As for Pyeonsakdaeyeop, Type 1) is found in all geomungo scores that contain gak melodies derived from pyeon. These gak melodies of pyeon seem to have become simplified over time with the publication of Samjukgeumbo and Bangsan Hanssigeumbo. Type 2) is seen in Hyeongeum Oeumtongnon and Hakpogeumbo, the text of Jingungmyeongsan was also reduced so that it has fewer gak. Incidentally, melodie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version of Eonpyeon existed in variations of Pyeonsakdaeyeop even before the title Eonpyeon appeared. These indicate that The melodies are predecessors of Eonpyeon and that Hansongjeong used to be part of Pyeonsakdaeyeop but became established as the text for Eonpyeon as Eonpyeon derived from Pyeonsakdaeyeop in the 19th century.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the variations of pyeon came into being mostly betwee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at the fast tempi of many of the variations called for a variety of forms.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gak melodies were not only varied within existing songs, but played a part in developing the old songs into new ones.

목차

Ⅰ. 머리말
Ⅱ. 금보 소재 ‘편’계통 악곡의 ‘각’ 선율 양상
Ⅲ. ‘편’계통 악곡별 ‘각’ 선율 특징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화복(Kim Hwa-bok). (2020).가곡 편(編)계통 악곡의 ‘각(刻)’선율 연구. 국악원논문집, 41 , 71-101

MLA

김화복(Kim Hwa-bok). "가곡 편(編)계통 악곡의 ‘각(刻)’선율 연구." 국악원논문집, 41.(2020): 71-1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