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추방된 이태원의 기억

이용수 202

영문명
Exiled Memories of Itaewon: A Study on Itaewon and Dansunhan Chinsim (Simple Heart)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저자명
배주연(Juyeon Bae)
간행물 정보
『여성학논집』제37집 1호, 17~4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전쟁 이후 이태원에는 미군부대를 중심으로 기지촌이 형성되었고, 이후 수십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이슬람 중앙 성전의 설립, 관광특구 선정, 도심 재개발 사업과 같은 일련의 변화들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이태원의 역사적 특수성으로 인해 이태원은 대중매체에서 빈번히 소환되어 왔다. 1990년대까지 이태원의 대중적 표상은 기지촌을 위시해, 군사독재와 분단, 냉전의 가로막힌 상상력을 기지촌 여성의 몸에 투영시켜 왔다면 최근 대중미디어가 표상하는 이태원의 이미지는 글로벌한 소비문화의 중심지로서 이태원을 자리매김하는 것이다. 그러나 포스트 식민적 상상에서 글로벌한 소비 도시로의 이동 속에서 이전까지 빈번하게 재현되던 기지촌의 여성들은 누락되거나 추방당했다. 본 연구는 이런 추방된 여성들의 현재적 삶을 다루고 있는 두 편의 여성 서사물 - 다큐멘터리 <이태원>(강유가람, 2016/2019)과 소설 『단순한 진심』(조해진, 2019, 민음사) - 을 분석하고, 어떻게 이 작품들이 동시대의 대중 표상에서 지워내려고 했던 기지촌 여성들의 삶을 복원하고 대항 기억장을 형성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태원>은 탈중심적 서사와 반-지도그리기의 전략을 통해 개발의 바람이 지우려고 하는 기지촌 여성들의 대항 기억장을 모색하며, 조해진의 소설 『단순한 진심』은 기지촌 여성과 입양아들의 트랜스내셔널한 연결을 시도하고, 돌봄의 윤리적 실천 공간으로서 이태원의 기지촌을 소환한다. 이 두 편의 작품 연구를 통해 본 논문은 남성화된 국가 서사와 개발 자본의 논리가 누락시킨 여성들의 기억장을 살펴보고, 이태원 여성들의 기억을 복원하려는 여성 작가들의 실천 전략을 논할 것이다.

영문 초록

Itaewon village, where the military camp town was formed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a central Islamic temple, the selection of a special tourist zone, and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has been represented in popular media due to its historical specificity. Until the 1990s, Itaewon village’s public image had been projecting ‘the blockage’ wrought by the Cold War and divis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military dictatorship onto the body of women in the military camp town, while the images of Itaewon village, which have been represented by popular media, including Itaewon Class, recently establish Itaewon village as the center of global consumption culture. However, women in the military camp town, which had been represented frequently before, were omitted or deported amid the shift from the post-colonial imagination to global consumption cities. This study analyzes the two women’s works - documentary Itaewon (Kangyu Garam, 2016/2019) and the novel Dansunhan Chinsim (Simple Heart) (Cho Hae-jin, 2019), which draw with the current lives of these deported women, and how the works restore the lives of women in the military camp town and form a counter-memory sphere that popular media tried to erase from the contemporary public memory sphere. Itaewon provides a venue for counter-memory through the face of women in the military camp town that the capital of development is trying to deport, and Dansunhan Chinsim attempts a transnational connection between women in the military camp town and international adoptees, and rewrites the history of the military camp town in Itaewon village as the sphere of ethical practice for caring. Through the study of these two works, this paper examines the memory of women omitted by the masculinized national narrative and the logic of developmental capital, and discusses the two practical strategies of ‘un-mapping’ and ‘ethics of caring’ by two authors trying to restore the memories of women in Itaew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태원의 기억과 재현 정치
Ⅲ. 대항 기억장: 강유가람의 <이태원>
Ⅳ. 돌봄의 공동체로서 이태원: 조해진의 『단순한 진심』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주연(Juyeon Bae). (2020).추방된 이태원의 기억. 여성학논집, 37 (1), 17-47

MLA

배주연(Juyeon Bae). "추방된 이태원의 기억." 여성학논집, 37.1(2020): 17-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