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 도시노동자의 식량조달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이용수 35

영문명
A Study on the Food Procuring Mechanism of City Workers in North Korea
발행기관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저자명
정은이(Eun-Lee Joung)
간행물 정보
『동북아경제연구』東北亞經濟硏究 第26卷 第1號, 261~302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북한주민의 식량원천 중 하나인 ‘화전(火畑)’에 착안하여, 1990년대 배급제 붕괴이후 북한 도시노동자의 식량조달메커니즘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사진, 지도 및 구글위성자료 등 시각자료 이외에 탈북자에 대한 심층면접, 설문지조사, 공간문헌자료 등 다양한 실증적 자료에 입각하여 함경북도 무산군을 중심으로 화전의 경작 실태에 대해 접근하였다. 분석결과, 북한 주민들은 상층부를 제외하고는 1년분 식량의 60% 정도는 화전을 통해서 충당하고 나머지 40%는 약간의 배급 외에 밀주, 두부 제조 혹은 가축을 기르거나 시장에서 장사를 하여 보충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화전은 시장과 연계되어 움직이고 있어 북한주민에게 사유재산을 축척할 수 있는 주요출구가 되고 있다. 즉 북한에서 현재 식량 배급제에 대한 접근이 어려운 하부류의 계층에게 있어서 화전은 안정적인 식량 공급원인 동시에 소득원으로써 기여하고 있다. 그러므로 북한 전체를 놓고 볼 때 화전은 식량완화 뿐만 아니라 중하층민의 생활 개선, 수준향상에 기여를 하고 있다. 따라서 당국이 만일 이를 없애려고 한다면 큰 혼란을 초래할 것이므로 당분간 이러한 구조는 변동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 화전은 산림의 남벌 및 화재 등 자연훼손을 통해 형성, 확대되고 있어 중장기적인 식량해결의 수단으로 사용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one of food sources of North Koreans, the slash-and burn, to identify the food procuring mechanism of North Korean city workers after the distribution system collapsed in 1990’s. Specially, this study approached the real condition of the slash-and-burn cultivation around Musan-gun, Hamgyeongbuk-do based on various substantial references, such as photographs, maps, and satellite data, as well as in-depth interview, questionnaire, and bibliographic data on North Korean defec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xcept some North Korean city working class, approximately 60% of food for a year was appropriated through slash-and-burn and the remaining 40% was supplemented with distribution, making moonshine and tofu, raising livestock, or by doing business in the market. Not only that,but the slash-and-burn became an exit for city workers to accumulate their private property as it is expanding in connection with the market. In other words, the slash-and-burn became a safe source of food to North Korean city workers who cannot get the food distribution system, and at the same time it is contributing as a source of income that can earn money by selling surplus goods that came out from the slash-and-burn. Therefore, in terms of entire North Korea, the slash-and-burn is not just alleviating the food situation, but is also improving life and level of city workers in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as such slash-and-burn is creating and expanding the deforestation or nature destruction, it would be difficult to be used as the means of solving the food problem in medium to long term aspect. However, as authorities of North Korea trying to eliminate it without preparing a specific plan of how to improve the food situation of city workers will cause big chaos between citizens. it is expected that such structure will be unchanged for awhile.

목차

Ⅰ. 서론
Ⅱ. 북한주민의 소토지 경작 실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Ⅲ. 소토지의 사례연구: 함경북도 무산군의 경작실태
Ⅳ. 결론: 소토지의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은이(Eun-Lee Joung). (2014).북한 도시노동자의 식량조달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동북아경제연구, 26 (1), 261-302

MLA

정은이(Eun-Lee Joung). "북한 도시노동자의 식량조달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동북아경제연구, 26.1(2014): 261-3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