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에 따른 문학교육 제도의 응답책임성

이용수 480

영문명
The responsiveness of the literary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changes in the media ecosystem
발행기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저자명
우신영(Woo, Shinyoung)
간행물 정보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14권 제1호, 79~118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가 만들어낸 문학 소통의 변화에 문학교육 제도가 어떻게 응답하고 있는지 다층적으로 검토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미디어 생태계 변화에 따른 문학 개념의 변화를 추적하고, 미디어 관련 문학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며 미래 문학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대한 예비교사 대상 설문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교육이 전제해 왔던 이상적 학습자란 텍스트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전통적 독자에 가까웠으나 변화하는 미디어 생태계 속에서 문학 개념은 경청하거나 해석해야 하는 명사형 개념이 아니라 적극적인 실천의 과정을 담은 동명사적 현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둘째, 문학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개념이 의미화 방식, 기존 문학(질료)의 전달 형식, 대중 매체 등의 세 층위로 혼재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교과서 분석 결과 기존 문학교육과 교과서의 틀을 흔들지 않는 선에서 미디어를 가미해 보는 초기의 태도에서 크게 나아가지 못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학습활동 역시 학습자가 미디어 생태계에서 문학을 하고 소통하는 양상과 괴리가 있었다. 셋째, 예비교사 설문을 통해 그들이 미디어 문식력, 디지털 원주민으로서 학습자에 대한 문식력, 문학교사로서의 전통적 사명감을 미래 문학교사의 역량으로 꼽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검토 결과 변화하는 매체 환경을 ‘미디어 생태계’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그 생태계의 구성 요소로서 문학을, 그리고 그 생태계를 움직여 가는 인적 주체이자 동력으로서 학습자를 바라보는 한편 학습자와 함께 디지털 생태계 문학을 향유하고 실천할 수 있는 문학교사의 역량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a multi-layered way, how the literary education system responds to changes in literary communication created by changes in the media ecosystem. For this purpose, I tracked changes in the concept of literatur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media ecosystem, analyzed media-related literature curriculum/textbook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with student teachers about competencies required for future teachers. First, the ideal learner that literary education has presupposed is a traditional reader who attends to the voice of the text, but in the changing media ecosystem, the literary concept is not a noun that needs to be listened to or interpreted. Second, in the literary curriculum,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at the media concept is mixed in three layers: the semantic method, the existing form of literature (material), and the mass media.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textbooks did not substantially progress from the initial attitude of applying the media in a way that did not shake the framework of the existing literature education and textbooks. Learning activities also followed a pattern of sepa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and the literature in the media ecosystem. Third, through student teacher survey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nts ranked media literacy, literacy for learners as digital natives, and the traditional mission as literary schoolteachers as the important capabilities of future teachers. Therefore, we need to look at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of the changing “media ecosystem” and, see literature as a component of the ecosystem and learners as human subjects with the power to move the ecosyste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capacity of literature teachers to enjoy and practice digital ecosystem literature with learners.

목차

1. 머리말
2. 미디어 생태계 속 문학 및 문학교육 개념의 변화
3. 미디어 생태계 속 문학 제도의 변화
4. 미디어 생태계 속 문학 교실의 변화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신영(Woo, Shinyoung). (2020).미디어 생태계의 변화에 따른 문학교육 제도의 응답책임성.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4 (1), 79-118

MLA

우신영(Woo, Shinyoung).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에 따른 문학교육 제도의 응답책임성."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4.1(2020): 79-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