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매약을 통해 본 한약의 제형 변화와 새로운 한약 처방의 경향성에 대한 고찰

이용수 166

영문명
A study of how proprietary medicin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led to transforms in Korea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prescriptions
발행기관
한국의사학회
저자명
황지혜(Hwang Jihye) 김남일(Kim Namil)
간행물 정보
『한국의사학회지』제33권 제1호, 99~11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한의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의약품 시장을 휩쓴 매약을 통해서 한약과 한의학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강점기의 매약은 ready-made medicine, OTC medicine, patent medicine, nostrum 등의 다양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조선 시대 주류 의학이었던 한의학과 한약이, ‘매약’이라는 형태로 변화· 적응해 나가는 모습을 일제강점기 매약 광고를 통해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존 탕제형태의 한약 처방은 제형의 변화를 통해서 ‘매약화’되었다. 또한, 기존 한의학 의서의 처방들은, 다른 처방이나 양약 등과의 합방을 통해서 새롭게 만들어지게 되었으며, 혹은 집안 대대로 내려온다는 비방이라는 이름 하에 새로운 처방으로 만들어진 매약들이 주목받게 되었다. 이러한 매약과 매약광고로 유명해진 한약 처방들이 후대의 한의사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보약으로 유명한 인삼과 녹용이라는 한약재를 전면에 내세워, 기존 한의학이 가지고 있는 신뢰와 권위를 이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보약 계열의 매약들은 양약을 섞고 자양강장의 효과를 내세웠는데, 기존 한의학의 보약 개념을 왜곡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changes to Korean medicine that occurred when ‘proprietary medicines’ (賣藥) swept through the pharmaceutical marke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1910-1945 C.E.). Proprietary medicin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ok various forms including ready-made, over-the-counter, patent, and nostrum type pharmaceuticals. This paper examines how Korean medicine, which was the dominant form of medicine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forced to adapt to the rise of proprietary medicines. We found that the prescription of Korean medicine herbal decoctions became more like proprietary medicine in the way that they were formulated. In addition, prescriptions in Korean medicine books were reformulated with prescriptions and medicines from outside the tradition. Proprietary medicines, many of which were made with secret recipes handed down in a family, also attracted attention. Such prescriptions were made famous through advertisements and further influenced future Korean medicine doctors. New prescriptions took advantage of the trust and authority existing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by introducing ginseng and traditional medicinal herbs such as deer antler velvet (鹿茸, Cervi Parvum Cornu). This paper argues that proprietary medicin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istorted the concept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지혜(Hwang Jihye),김남일(Kim Namil). (2020).일제강점기 매약을 통해 본 한약의 제형 변화와 새로운 한약 처방의 경향성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33 (1), 99-112

MLA

황지혜(Hwang Jihye),김남일(Kim Namil). "일제강점기 매약을 통해 본 한약의 제형 변화와 새로운 한약 처방의 경향성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33.1(2020): 99-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