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한 저시력 유병률 조사

이용수 94

영문명
Prevalence of Low Vision in 2017 Based 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김응수(Ungsoo Samuel Kim) 한국저시력연구회(Korean Low Vision Society)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4, 407~411쪽, 전체 5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저시력 및 시각장애 유병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7년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안과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체 표본 8,127명 중 시력을 측정한 40-80세 환자 3,160명(평균 나이는 59.4 ± 11.8세, 남:여=1,3:1,8)을 분석하였다. 시력 측정은 진용한시력표(4 m 용)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1차 시력검사에서 나안시력이 0.8 미만인 경우 자동굴절검사를 사용한 굴절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대교정시력을 측정하였으며 분석은 세계보건기구의 기준에 근거하여 좋은 눈의 시력이 저시력 기준인 6/18 이하에 해당하는 0.32 이하부터 포함하였다. 시각장애는 중등도시각장애(0.32-0.125), 중도시각장애(0.1-0.025), 법적맹(안전수지 이하)으로 분류하였다. 설문조사에서 실시한 직업 재분류 및 실업/비경제 활동인구 상태코드를 분석하였다. 결과: 저시력의 유병률은 46명(1.46%)이었으며 법적맹을 포함한 시각장애를 보인 환자는 총 74명(2.34%)였다. 시각장애 분포 중 저시력에 해당되나 현재 장애인복지법상 시각장애인등급에 해당하지 못하는 0.32와 0.25에 해당하는 환자가 총 35명으로 전체 저시력환자의 76%에 해당하였다. 직업 재분류 및 실업/비경제 활동인구 생태에 대한 분석에서 저시력에서는 61.5%, 법적맹에서는 75.0%가 무직에 해당하였다. 결론: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저시력 및 시각장애 인구에 대한 정확한 실태 파악과 함께 장애인복지법상 해당이 되지 못하는 인구에 대한 앞으로의 대책이 필요하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low vision and legal blindnes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2017).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in 2017, we analyzed 3,160 patients, 40-80 years of age, and measured the visual acuity among the total of 8,127 patients. The visual acuity was measured using Jin’s vision chart (for 4 m). When the uncorrected visual acuity was less than 0.8 in the first visual acuity test, vision was re-evaluated with correction using autorefractor. The analyses of the prevalence of low vision and legal blindness were based on the criteria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rate visual impairment, 0.32-0.125; severe visual impairment, 0.1-0.025; and legal blindness, <0.025 in the better eye. We analyzed the occupational reclassification and unemployment/noneconomic activity population status codes of the questionnaire surveys. Results: The prevalence of low vision included 46 (1.46%) patients among a total of 3,160 patients (mean age, 59.4 ± 11.8 years; male:female, 1,328:1,832) and visual impairment including low vision and legal blindness involved 74 (2.34%) patients. Seventy-six percent of the low vision patients were not designated with legal disabilities. In addition, 61.5% of the patients with low vision and 75.0% of the legally blind patients were unemploy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recise condition of the low vision and legally blind patients, and to conduct comprehensive treatments for patients who cannot be covered by the Welfare Act for the Disabled.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응수(Ungsoo Samuel Kim), 한국저시력연구회(Korean Low Vision Society). (2020).201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한 저시력 유병률 조사. 대한안과학회지, 61 (4), 407-411

MLA

김응수(Ungsoo Samuel Kim), 한국저시력연구회(Korean Low Vision Society). "201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한 저시력 유병률 조사." 대한안과학회지, 61.4(2020): 407-4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