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부부처 소셜 미디어 활동과 관계의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연구

이용수 125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scale to measure social media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The case of Facebook pages of 20 government agencies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공병훈(Byoung-Hun Kong)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35호, 19~4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소셜 미디어 채널 운영자와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활동, 참여, 대화, 연결이라는 4가지 기준을 정의하고 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사례 페이스북 페이지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활동’을 운영자의 포스팅 활동 정도, ‘참여’를 사용자의 참여 정도, ‘대화’를 운영자의 사용자와의 댓글에 대한 답글 정도, ‘연결’을 사용자와의 구독을 통한 관계망 구축 정도라고 개념을 정의하였다. 4가지 기준에 따른 ‘운영자와 사용자의 활동과 관계에 측정 항목’을 9개 선정하고 범주화하고 그래프 형태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정부 부처 20개 집행기관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소셜 미디어 사례로 선정했고, 2017년 8월에 게재된 포스트를 정책, 이벤트, 교양 콘텐츠로 구분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각 관찰값의 항목별 최대값을 100으로 하여 상대점수로 환산하여 콘텐츠별 평균을 도출하고 각 부처별로 지표를 산출하였다. 소셜 미디어에서의 네트워크 현상들은 복잡하고 다이내믹한 특징을 지닌다. 복잡도 높은 네트워크 현상 분석은 관계형 데이터를 통해 특징과 패턴을 분석하여 그 사회적 의미에 접근해야 한다. 이 논문은 페이스북의 운영자와 사용자의 활동과 관계 정도, 특징, 패턴들을 보여주기 위해 개발된 프레임워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 프레임워크는 정부 부처, 집행기관, 문화 관련 공공기관, 동종 기업 등 한 집합에 포함되는 소셜 미디어 채널들의 활동과 관계에 대한 평가와 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으며 소셜 미디어 활동과 평가에 대한 질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our scales of activity, participation, dialogue, and connection as a measure to measure the activities and relationship of channel operators and users of social media, and apply it to the case Facebook page to analyze the feasibility. We define ‘activity’ as the level of activity of the operator, ‘participation’ a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the user, ‘conversation’ as the extent to which an operator replies to a user’s comments, and ‘Connection’ is a relationship established with users. Based on the four scales, nine items were selected for the ‘measurement ite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user’ As an analytical method for analyzing the validity of the emanating scale, the Facebook pages of the 20 government agencies were used as social media cases, and the posts were classified as policy, events, and cultural contents. The maximum value of each observation value was taken as 100, and converted into a relative score. And we derive the average for each content and calculate the index according to the scale of each department. Network phenomena in social media have complex and dynamic characteristics. Analysis of high-complexity network phenomena should analyze its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through relational data and approach its social meaning. This paper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scale developed by the departments’ graphs based on the index values showing the degre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of the users and users of Facebook. These scales can be used to evaluate the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of social media channels that can be included in a single set, an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qualitative research on social media activities.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과 연구문제
4. 분석결과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공병훈(Byoung-Hun Kong). (2018).정부부처 소셜 미디어 활동과 관계의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35), 19-42

MLA

공병훈(Byoung-Hun Kong). "정부부처 소셜 미디어 활동과 관계의 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35(2018): 19-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