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군인의 근무평정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가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2

영문명
The Impact of Service Members Perception and Execu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발행기관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저자명
박종각(Park Jong Gak)
간행물 정보
『사회융합연구』제2권 제2호, 13~25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내·외적인 경제 환경 및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군 조직 구성원들의 일반 사회적 욕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직장에 대한 인식도 변화되어 감에 따라 군 조직과 구성원간의 관계도 이해 타산적 관계의 성격을 띄어가고 있다. 따라서 군 조직에서의 근무평정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진급(승진)뿐만 아니라 배치전환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진급(승진)에서 선발되지 못하면 이직(전역)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군에서의 근무평정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군 근무평정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가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인지적·정서적 신뢰의 조절효과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군 근무평정의 평가체계에 대한 합리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근무평정은 군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능력을 평가하는 인사관리의 가장 근원이 되는 인사제도로써 직업군인들의 진급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조직구성원들의 행동과 군대문화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Following the changes in the economic environment and values, inside and outside the national boundaries, members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has shown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interest in general social desires. Their perspectives of their work places have changed along with the above changes as relations among the members of the military are increasingly characterized by selfish interest. Given as such, performance evaluation constitutes an integral part of professional life in the military. The importance of performance evaluation is increasing because it not only influences promotion but also affects re-assignment which may prompt the members to leave.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is dedicated to finding how the perception and the execu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under the framework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ffects the controlling power of cognitive and emotional trust, and to suggesting reasonable ways of performance evaluation. Hence, it is fair to argue that performance evaluation resides in the heart of all personnel policies and plays a determining role in promotion. It has been found to be playing a key role in influencing the behavior of the members of the armed forces and the military culture itself.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설계 및 대상 조사
4. 실증분석 및 가설의 검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종각(Park Jong Gak). (2018).직업군인의 근무평정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가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융합연구, 2 (2), 13-25

MLA

박종각(Park Jong Gak). "직업군인의 근무평정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가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융합연구, 2.2(2018): 13-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