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Purchase Attributes on Ugly Agricultural Products Using Conjoint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농식품정책학회
- 저자명
- 고은아(Eun-A Go) 주미선(Mi-Seon Ju)
- 간행물 정보
- 『한국농식품정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2017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290~308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ugly fruits and vegetables based on consumer utility and to examine the factors including appearance, price, use by using a conjoint analysis model. The conjoint analysis is to trace the development of consumer preference among multi-attribute alternative. The data is collected from 221 consumers in Cheongju, Korea, through direct interviews and survey. 200 samples are found to be valid and used for analysis, using SPSS 22.0. Results show that pric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some properties of agricultural products market, followed by appearance, use. That is, consumers prefer low price of agricultural products to its good appearance. That is why we should not throw ugly agricultural products away and should exploit to sell them. According to the potential market share prediction results (when we fixed the price depending on appearance), the highest ranking agricultural product has the middle level of appearance(B level) and the use for eating raw. So we should develop ugly agricultural product s market structure and sale strategies and then promotion of them for consumers is needed, too. They cam help to solve some environment problems and farm household economy.
목차
Ⅰ. 서론
Ⅱ. 분석모형 및 방법
Ⅲ. 컨조인트 분석자료의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식품안전규제의 근거기반 정책결정 관리방안 - 증거기반 정책결정으로서의 규제영향분석 제도 분석을 중심으로 -
- 한국방문비자 발급확대에 따른 중국 연변조선족자치구 농업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 국가별 식품안전수준 비교를 통한 정책적 제언
- 식품 산업에서의 생산성과 비교우위관계의 국가 간 비교 연구
- 농업경영의 관점에서 본 농지 이용 특성: 주요품목 소득조사 자료와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GAP인증 학교급식농산물 선호도 분석
- 친환경농산물 공공급식 확대를 위한 제안
- 식품안전 정책결정 과정에서 식품안전정보의 역할
- 생산자지지추정치(%PSE) 추정 시 시장가격지지(MPS) 대상 품목 확대를 통한 지표 개선 방안
- 백색시유의 가공업체별 비대칭적 가격전이 분석
- 정보화마을에 관한 만족도 연구 -충남 지역 5개 마을 중심으로-
- 사회적 환경비용을 고려한 최적 농업생산규모
- 원산지 표시제 단속에 대한 시스템 다이나믹스 모델 분석
- 청년농업인·후계인력 육성 방안
- 충남지역 낙농가의 사양관리 및 경영실태 조사
- ICT 기반의 스마트 팜 운영실태 분석 및 발전방안
- 미투상품의 성공요인은 무엇인가? -라면시장과 음료시장을 중심으로-
- 동일본 대지진 전 ·후 소비자 안전 민감도 변화에 따른 일본 수산물 수입수요함수 추정 -인터넷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주요 작물의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 한국 미작농가를 중심으로 Two-stage DEA 모형을 이용해서
- 컨조인트를 이용한 B급 농산물의 구매속성 분석
- Policy Impacts and Determinants of Food Wastes in Korea
- 농업소득 변동성을 고려한 농외소득활동 참여 및 농외소득 결정요인 분석
- Meat Consumption Behavior and Willingness to Pay for Organic Chicken: A Case Study of Malawi
- 적정 FTA폐업지원금 수준에 대한 조사 분석
- 국내 농업 콘텐츠 플랫폼 수립 및 활성화 전략 네이버 FARM판의 설립과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제분용 밀 가공업자의 시장지배력 추정
- 가축 전염병이 축산물 산지가격에 미치는 비선형적 영향 분석
- 4차 산업혁명과 농식품정책
- 수입농산물 과일의 원산지국가이미지, 브랜드이미지 및 지각된 품질 간의 관계연구: 자기해석의 조절효과
- Spatial Price Dynamics in the U.S. Vegetables Sector
- 프랜차이즈 치킨 시장 유통마진 분석 -치킨 원료육의 오해와 진실-
- 돼지고기 인증마크의 경제적 가치와 비용편익 분석
- 작물재배면적 통계 개선을 위한 무인항공기 활용
- 벼 재배방법에 따른 기대소득의 확률우위성 분석
- 공간적 종속성을 고려한 기후변화가 벼 병해충 발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싼데 왜 안 먹지?
- 농지연금 가입이 농가소득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현장적용성을 고려한 농업경영 연구주제 우선순위 분석
- 소비자가 원하는 친환경농식품
- 배합사료 시장에서 농협계통사료의 가격견제 기능 분석
- 농업직불제 개선방향과 실천과제: 충남 농업생태환경프로그램의 사례
- 한국 노령가구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기능성식품 소비행태 분석 -주 구매자를 대상으로
- 급변하는 소매 유통환경 속에서 친환경 식품 유통의 과제
- 양념채소 저장의 수급안정 및 경제적 효과 분석
- 밀양시 체류형 농촌관광에 대한 도시민 인식조사 및 지불의사금액 추정 - 체험 마을을 중심으로-
- 로컬푸드 직매장 이용자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H 로컬푸드를 사례로-
- 스마트 농업 활성화를 위한 농업경영 분석 방안
- 전국이 골고루 잘사는 대한민국 실현을 위한 농촌정책 위상과 방향
- 농업분야 빅데이터의 활용 사례와 소셜네트워크 데이터 분석을 통한 농산물 가격 분석
- 과일 소비액의 불균등도와 양극화 분석
- 정가·수의매매 성과 분석 : 가락시장을 중심으로
- 스마트팜 농업의 정착을 위한 농업경영모델 구축
- 수확기 쌀값 예측모형 개선에 관한 연구
- 안전·안심 친환경농산물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농업인의 역할
- 편의점을 활용한 농식품 유통망 확대방안 제안
- 쌀 생산조정제 도입을 위한 시사점 모색: 논벼 재배농가의 영농형태 결정요인과 지역간 차이를 중심으로